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첨단 반도체 사용 없이도 뛰어난 성능의 오픈 소스 AI 모델을 선보이면서 미국 실리콘밸리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딥시크 실행 화면. / 딥시크
딥시크 실행 화면. / 딥시크

CNBC는 24일(현지시각) 2023년 설립된 중국의 AI 스타트업 회사가 성능이 떨어지는 반도체 칩을 사용했음에도 뛰어난 성능의 AI 모델을 출시했다고 보도했다.

딥시크는 1월 20일 추론 특화 모델 ‘딥시크-R1’을 출시하면서 오픈 AI의 추론 모델인 ‘o1’과 동일한 성능을 가졌다고 밝혔다. 회사가 공개한 기술보고서에 따르면 R1은 미국 수학경시대회인 AIME 2024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R1인 79.8%의 정확도를 기록했다. 이는 79.2%의 정확도를 보인 o1을 앞서는 수치다.

지난달에는 ‘챗GPT-4o’와 비슷한 성능을 가진 오픈AI ‘딥시크-V3’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딥시크는 V3를 개발하면서 사전 연구와 실험을 제외하고 모델 훈련에 557만6000달러(79억9800만원)를 투자했다고 밝힌 바 있다. 메타가 최신 AI 기술을 구축하는 데 투입한 비용의 10%에 불과한 수준이다.

딥시크가 잇달아 놀라운 성능의 모델을 출시하면서 미국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는 “딥시크 모델은 테스트-타임 컴퓨팅을 수행하는 추론 오픈 소스 모델을 효과적으로 구현한 것과 슈퍼컴퓨터 효율성이 인상적이다”며 “우리는 중국의 발전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이 미국을 이미 넘어섰다는 의견도 나왔다. 알렉산더 왕 스케일 AI CEO는 “우리가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딥시크가 공개한 모델은 성능이 뛰어나거나 미국 최고 모델과 거의 비슷한 수준에 이르렀다”며 “중국이 AI 모델을 훈련하는 칩 분야에서 엔비디아보다 훨씬 더 다양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딥시크는 엔비디아가 미국 첨단 반도체 수출 규제로 그래픽처리장치(GPU)인 ‘H100’의 사양을 낮춰 중국용으로 출시한 ‘H100’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얀 르쿤 메타 수석과학자는 반대 의견을 내놨다. 그는 “딥시크의 성과를 보고 중국이 AI에서 미국을 넘어섰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됐다’며 “오픈 소스 모델이 독점 모델을 앞질렀다고 하는 것이 정확하다”고 지적했다.

허인학 기자
ih.he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