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가 지난해 연 평균 중·저신용대출 비중 목표치인 30% 이상 달성에 성공했다.
28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평균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개인사업자 포함·잔액기준)은 카카오뱅크 32.1%, 케이뱅크 34.1%, 토스뱅크 34.7%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는 32.1%를 기록하며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목표치 달성에 성공했다.
지난해 공급한 중·저신용 대출 규모 역시 2조5000억원으로 인터넷은행 3사 중 가장 많다. 카카오뱅크가 출범 이후 공급한 중·저신용 대출 규모도 누적 13조원을 넘어섰다.
카카오뱅크는 올해도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의 지속적인 공급과 자산건전성 관리를 위해 신용평가모형을 고도화하고 대안정보 활용 확대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케이뱅크는 전년 보다 5%포인트 증가한 34.1%를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신규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1조1700억원으로 누적으로는 7조1658억원을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3월 신규 대안평가모형 네이버페이스코어를 도입하고 하반기에는 삼성카드· 신한카드가 보유한 개인사업자 대안신용정보를 대출심사전략에 활용하는 등 대안정보를 활용한 심사 전략 및 CSS(신용평가모형) 고도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토스뱅크는 34.1%를 기록했다. 3사 중 대출 비중 가장 높다. 지난해 신규 대출 규모는 1조3600억원이다.
대출 평균 잔액은 4조800억원이며 이중 1조원은 개인사업자 대출로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을 위한 포용금융 역할도 충실히 했다는게 토스뱅크 측의 설명이다.
토스뱅크는 신용평가모형 및 심사전략 고도화를 위해 비금융데이터 및 대안정보 확보와 분석 역량을 지속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