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클라우드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대중화에 나선다.
4일 LG CNS는 ‘AWS-LG CNS 생성형 AI 론치 센터(Gen AI Launch Center)’를 신규 설립했다고 밝혔다. 이 센터는 기술, 비용, 시간 문제로 생성형 AI 서비스 구축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보다 쉽게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담조직(TF)이다. 생성형 AI, 클라우드 분야의 양사 전문가들이 참여해 AI 전환(AX) 협력을 가속화한다.
이에 양사는 협력 조직을 구성해 생성형 AI 공동사업을 추진한다. 최근 LG CNS는 은행, 보험, 증권, 카드 등 금융 분야에서 AX 프로젝트를 대거 수주했으며 제조 AX 영역에서도 활발히 사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에는 ‘AWS 생성형 AI 컴피턴시(AWS Generative AI Competency)’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생성형 AI 인증도 획득했다.
‘AWS-LG CNS 생성형 AI 론치 센터’는 기업을 위한 생성형 AI 서비스 100개를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기업은 ▲사용자 맞춤형 챗봇 ▲마케팅 문구·이미지 생성 서비스 ▲이슈 요약 및 대응체계 수립 등을 지원하는 이슈관리 통합플랫폼 등 생성형 AI 기술이 적용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LG CNS는 ‘생성형 AI 퀵 딜리버리’ 체계를 활용한다. 기업이 최소한의 기간과 비용으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기획부터 구현·검증까지 일괄 지원하는 ‘산업·업무 영역별 사용사례(Use Case)’와 ‘AI 솔루션’을 제공한다.
더불어 LG CNS는 AWS의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결합해 시너지를 강화한다. 주요 AI 기업 및 아마존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을 활용해 기업에게 적합한 모델을 선정하고, 효과적으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만들 예정이다.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AWS가 자체 개발한 차세대 파운데이션 모델 ‘아마존 노바(Amazon Nova)’, AWS의 고성능 컴퓨팅 특화 하드웨어 등도 활용할 수 있다.
현신균 LG CNS CEO는 “AWS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모든 기업의 생성형 AI 도입 문턱을 낮추겠다”며 “앞으로 양사는 생성형 AI 공동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향후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APJ) 지역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아 기자
kimka@chosunbiz.com
- LG CNS 데이터센터, 행안부 인증 ‘재해경감 우수기업’
- LG CNS, 금융 기업 맞춤형 AI 모델 골라준다
- LG CNS-델 테크놀로지스 맞손, AI 인프라 활성화 나선다
- LG CNS, NH농협은행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한다
- AI 협업 생태계 넓히는 삼성…자체 역량 집중 LG
- “AI·클라우드가 효자”… 토종 IT기업들, 역대급 실적 행진
- LG CNS, 지난해 영업익 5129억… 역대 최대
- LG CNS, 상장 한달 연일 ‘최저가’… 반등은 언제쯤
- 함기호 AWS코리아 대표 “공공 진출 계획대로… 국가 AIDC도 검토 중”
- 코히어, 한국 진출 의지 밝혀… LG CNS 세미나에서 ‘노스’ 공개
- 통역사 대신 ‘자체 AI’… LG CNS가 그리는 에이전트 AI 시대는 [르포]
- AWS, 아태·EU에 생성형AI 기반 ‘아마존 노바’ 출시
- 에이단 고메즈 코히어 CEO “LG CNS와 AI 원팀 구성… AI 도입 가속화 기대”
- “AX 전문가 모십니다”… LG CNS,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 시작
- LG CNS, 창고 자동화 로봇 ‘3D 모바일 셔틀’로 글로벌 공략
- LG CNS 상장 후 첫 주총 개최… 주당 배당금 1672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