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경상수지가 29억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21개월 연속 흑자 기록이다. 다만 경상수지 흑자를 이끌어온 반도체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고, 설 연휴 영향으로 조업일수가 줄면서 1년 전보다 흑자 폭이 줄었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1월 경상수지는 29억4000만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깜짝 실적을 기록한 전달 123억7000만달러, 전년 동월 30억5000만달러보다 모두 줄어든 규모다.
상품수지는 25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4일 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월 43억6000만달러 보다 흑자폭이 줄었다. 전월(104억3000만달러)와 비교하면 4분의 1 수준이다.
수출은 498억10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9.1% 줄었다. 전년동월대비 기준 2023년 9월(-1.6%) 이후 첫 감소다. 통관 기준으로 컴퓨터(14.8%)·반도체(7.2%) 등 정보기술(IT) 품목의 증가세가 이어졌지만, 석유제품(-29.2%)·승용차(-19.2%) 등 비IT 품목의 감소 폭이 확대됐다.
수입은 473억1000만달러로 6.2% 감소했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석탄(-35.5%)·가스(-20.2%)·화학공업제품(-11.4%)·원유(-5.5%) 등 원자재 수입이 9.8% 감소했다. 곡물(-22.7%)·승용차(-8.2%)를 비롯한 소비재 수입도 10.3%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여행, 기타사업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20억6000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전월 21억1000만달러보다 소폭 축소됐다.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26억2000만달러로 작년 12월 47억6000만달러보다 20억달러 이상 줄었다. 증권투자 배당소득을 중심으로 배당소득수지가 한 달 사이 35억9000만달러에서 19억달러로 감소한 영향이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연말연초의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1월 경상수지 흑자 폭이 전월에 비해 크게 축소됐지만 21개월 연속 흑자 기록을 이어갔다”며 “2월에도 경상수지 흑자 흐름이 이어지겠지만 중국 제품의 글로벌 공급 지장이 확대되고, 미국의 관세 인상 등 비 IT부문의 부진이 예상되는 만큼 올해 전체적으로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해에 비해 축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