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SK텔레콤 유심(USIM) 해킹 사태와 관련해 정부 부처와 민간 기업 6000여곳에 SK텔레콤 서버에서 발견된 악성코드 정보를 공유하고 긴급 보안 점검을 요청하는 등 후속 조치를 취했다고 9일 밝혔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추진현황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5.9 / 뉴스1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추진현황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5.9 / 뉴스1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월례 브리핑에서 "SK텔레콤 침해 사고로 국민 불안감이 크다는 것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국민 눈높이에 맞는 사태 해결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25일 통신·플랫폼사 등 민간 기업 6000여 곳에 악성코드 정보를 공유한 후 이튿날인 26일에는 각 부처에도 내용을 공유하고 보안 점검을 요청했다.

민관합동조사단은 최근 SK텔레콤의 홈가입자서버(HSS) 3대에서 총 12종의 악성 코드를 발견했다. 이들 서버는 SK텔레콤이 가입자 정보를 분산한 서버 총 14대 가운데 일부다.

과기정통부는 또 SK텔레콤에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에도 피해가 발생할 경우 100% 보상, 해외 출국자의 공항 유심 교체 지원, 유심교체 사전 예약시스템 운영 등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행정지도를 통해서는 일일 브리핑을 통한 투명한 정보 공개, 유심 물량 안정화 시점까지 신규 모집 전면 중단, 디지털 취약계층에 대한 유심보호서비스 일괄 적용 등을 요구했다.

유 장관은 "민관합동 조사단의 SK텔레콤 해킹 사고 조사 결과는 아마 6월 달 말이나 돼야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략 2개월 정도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위약금에 관한 사안도 내용을 공유했다. 유상임 장관은 "위약금 면제 문제는 SK텔레콤 존립이 걸린 문제인 만큼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며 "민관 합동 조사단의 결과를 봐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