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감소와 의대 쏠림 등 이공계 인재 유입이 급격히 감소하는 가운데 해당 위기 국면을 타개하기 위한 국회와 과학기술계, 학술단체 등이 머리를 맞댄 정책포럼이 열렸다.

국회 ‘이공계 위기 시대 과학기술 인재 양성 해법’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 조인철 의원실
국회 ‘이공계 위기 시대 과학기술 인재 양성 해법’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 조인철 의원실

조인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회 소속 의원(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해 최수진·최형두 과방위 의원(국민의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이공계 위기 시대 과학기술 인재 양성 해법’을 주제로 한 국회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정진호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은 개회사에서 “우수 과학기술 인재 확보는 국가 지속성장과 기술 주권 확보를 위한 핵심 요소”라며 “해외 유출, 유인책 부족, 인구 감소, 이공계 기피 등 복합적인 위기를 극복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적 차원의 인재 양성 전략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포럼이 해법을 모색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축사에 나선 조 의원은 ‘AI 인덱스 2025’ 보고서를 인용해 “한국은 ‘인구당 AI 특허 수’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할 정도로 뛰어난 인재 역량을 갖췄지만, ‘AI 인재 이동 지표’는 -0.36으로 해외 유출이 심각하다”고 밝혔다. 그는 “우수 인재의 국내 정착을 돕는다면 IT 코리아의 성공 신화를 다시 쓸 수 있을 것”이라며, 인재 유입부터 성장까지를 포괄하는 중장기 로드맵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조 의원은 “법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창업자 존중과 실패에 대한 관용이 있는 사회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며 “지역을 ‘혁신의 실험장’으로 삼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과학기술 인재 위기 시대의 대학 R&D 혁신 방안’을, 김영오 서울대 공과대학장이 ‘대학 현장에서 본 이공계 인재 위기와 미래 양성 방향’을 주제로 발제했다.

이어진 2부 토론에서는 이원용 연세대 연구부총장을 좌장으로, 유재준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장, 문승현 전 광주과기원 총장, 김용삼 진코어 대표, 장원우 고려대 박사, 장주애 성균관대 박사 등이 패널로 참여해 다양한 정책 제언을 주고받았다.

주최 측은 “현장에서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과학기술 인재 정책 마련에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