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와 분할되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최근 불거진 중복상장 의혹을 일축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옥 전경 /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옥 전경 / 삼성바이오에피스

25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 경영진은 분할 발표 당일인 22일 열린 내부 설명회에서 “향후 회사의 상장 계획이 없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김형준 삼성바이오에피스 경영지원실장(부사장)도 분할 관련 설명회에서 “중복상장에 따른 주주가치 희석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향후 5년간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상장을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을 신설법인(삼성에피스홀딩스)의 정관에 기재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사업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완전 분리한다고 22일 발표했다. 경쟁사업 운영에 대한 고객사의 잠재적 우려를 해소하고, 수익 창출 방식이 다른 두 사업에 투자해야 하는 투자자들의 고민을 해소하기 위한 결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분할 발표 당시 경영 투명성, 독립성 및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의 일환으로 ‘삼성바이오에피스 중복상장 미실시(5년)’를 약속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IPO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시장 일각에서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5년 후 기업공개(IPO)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다만 업계에서는 5년이라는 기간은 금융당국이 제한하는 물적분할 자회사의 심사 강화 기간을 준용한 것일 뿐, 중복 상장 가능성과는 무관하다는 목소리다.

이번 기업분할은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자회사 관리와 신규 투자를 맡은 사업 부문을 분리해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설립하는 것이다. 단순 인적 분할 방식이어서 물적분할처럼 주주가치 훼손이 발생하지 않고 투자자 이해 상충 우려도 없다는 업계의 분석이다. 금융당국도 물적분할과 달리 인적 분할에는 별도 제재를 하지 않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10월 1일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분할해 설립되는 삼성에피스홀딩스의 완전 자회사로 편입된다. 분할 비율은 삼성바이오로직스 0.6503913대 삼성에피스홀딩스 0.3496087이다. 자본금은 각각 1157억2700만원과 622억800만원이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