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8일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시한에 대해 모든 국가에 25~50% 혹은 10%의 관세율을 적용한 관세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각)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다가오고 있는데 어떻게 할 계획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우리가 할 일은 모든 국가에 서한을 보내는 것”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발표한 무역 상대국별 상호관세를 효력 발생일인 같은 달 9일 90일간 유예했고 이후 미국은 국가별 무역협상을 벌인 바 있다. 다만 이날 발언에 따라 상호관세 유예 조치는 연장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협상 대상 200개국과 모두 협상할 수는 없다”면서 “앞으로 보낼 관세 관련 서한이 ‘무역 협상의 끝’”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일본에 대해서도 “서한을 보낼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일본이 미국산 자동차를 많이 수입하지 않는 대신 미국은 수백만 대의 일본 차를 수입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일본과 큰 무역적자를 갖고 있고 그들은 이해한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만나지 않아도 된다. 우리가 할 일은 서한을 보내고 ‘미국에서 살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25%, 35%, 50% 또는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이 자체적으로 최대 50%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수 있지만 일부 국가에는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할 것이라는 취지로 풀이된다.
‘일본과 한국이 미국 자동차 업체보다 낮은 관세를 적용받는 협정을 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선 “미국 자동차 업체들은 미국에서 차량을 파는 일에 너무 바빠서 그 문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며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재임 시기 제정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보조금에 대해선 “이런 사기에 돈을 주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면서도 “하지만 일부 프로젝트는 이미 시작됐고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면 중간에 있게 된다. 나는 그 점도 이해한다”고 말했다.
노동력 의존도가 높은 농장이나 호텔 등에서의 불법이민자 단속에 대해선 “많은 사람이 하지 않을 힘든 일을 해온 사람들을 모두 데려가면 농부를 파괴하는 것”이라며 “농장이나 호텔 소유주가 정부의 이민 단속을 제어할 수 있는 일종의 임시 허가증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윤승준 기자
sjyo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