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서면 평가 결과 10개 팀이 평가를 통과했다.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는 정부가 글로벌에서 경쟁할 국가대표 AI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공모에 접수한 15개 팀 제출서류를 서면평가를 진행한 결과 10개의 정예팀으로 압축됐다고 밝혔다.
서면평가를 통과한 컨소시엄은 네이버클라우드, 모티프테크놀로지스,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카카오, KT, 코난테크놀로지, 한국과학기술원 등 10곳이다.
서면평가는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진행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개 팀을 대상으로 발표 평가를 진행해 최종 5개팀을 심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업비 심의·조정 등 절차를 거쳐 8월 초 최종 선정팀을 선정하고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
관련기사
- ‘소버린 AI = 네이버 AI’ 현실로…정부 3대 AI 사업 싹쓸이 우려
- 15개 컨소시엄 몰린 'AI 국가대표' 선발전...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경쟁 치열
- ‘K-AI’ 향한 게임업계 도전…엔씨는 내공, 크래프톤은 속도
- 크래프톤, SKT와 수학·코딩 특화 소형 언어 모델 3종 공개
- “자체 LLM 보유”… ‘K-AI 사업’서 약진하는 벤처·스타트업은
- 엔씨 AI, ‘AI 독자 모델’ 컨소시엄 공개…산업·학계·방송 총망라
- 업스테이지·AWS, 솔라 언어모델 고도화… 아태·미국 공략
- 임정환 모티프 대표 “글로벌 톱5 AI 모델 만들 것” [AI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