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가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탐지 기술 상용화에 나섰다.

AI 보이스피싱 예방 관련 혁신지원 현황.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AI 보이스피싱 예방 관련 혁신지원 현황.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9일 국내 최초로 딥보이스 여부를 판별하고 화자 음성을 대조하는 2중·3중 탐지 구조를 갖춘 보이스피싱 대응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실제 보이스피싱 통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싱 시나리오를 1차 탐지하고, 의심 징후가 감지되면 ‘화자 음성 인식’ 기술을 통해 상대방의 목소리를 대조하는 방식이다. AI가 조작된 음성(딥보이스)을 식별하고, 의심 통화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기존 방식보다 정밀성이 높아졌다는 평가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부터 보이스피싱 대응을 위한 기술 개발과 데이터 활용 기반 마련에 나섰다. 2023년 6월에는 과기정통부, 금융위, 국과수, 금감원, KISA 등 5개 관계기관과 함께 AI 기반 탐지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협약을 통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보유한 통화 데이터를 가명 처리·비식별화해 통신 3사의 ‘통화 문맥 분석’ AI 모델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과기정통부의 ICT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KT가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실증특례로 지정받았다. KT는 약 2만5000건의 보이스피싱 통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대방 음성과 저장된 의심 음성 데이터를 단말기 내에서 비교하는 ‘온디바이스’ 방식의 화자 인식 기술을 개발했다.

이후 개인정보위는 10개월간 KT와 국과수와 함께 실증 과정을 검토하며, 기술 구조와 데이터 처리 흐름, 정보주체 권리 보호 방안 등을 점검했다. 이행 점검은 7월 22일 완료됐다. 해당 서비스는 이날 정식 상용화된다.

이와 별도로 개인정보위는 수사기관이 제공한 보이스피싱 통화 데이터를 활용해, 통신 3사가 발신·수신 패턴을 AI로 학습한 뒤 의심 번호를 예측하고 금융기관과 공유해 사전 차단하는 시스템도 심의·의결했다.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은 “보이스피싱과 같은 민생범죄를 근절하려면 수사, 통신, 금융 등 관계 부처 간 협업이 필수다”라며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범죄 예방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제도 기반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