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5월 도입한 ‘브랜드 메시지’를 두고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사용한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이번 논란은 카카오와 통신업계가 2011년부터 이어온 갈등의 연장선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개인정보 무단 활용 vs “고지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특수한유형의부가통신메시징사업자협회(SOMA), 서울YMCA, 소비자시민모임 등이 카카오의 브랜드 메시지 서비스를 연이어 비판하고 있다. 브랜드 메시지는 카카오톡 내에서 발송되는 메시지형 광고 상품으로 할인쿠폰 등을 제공하는 데 활용된다.
SOMA와 시민단체는 카카오톡 브랜드 메시지가 이용자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활용해 광고를 발송하고, 광고를 보는 데 필요한 데이터 비용까지 이용자에게 전가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카카오는 이를 부인했다. 브랜드 메시지에 사용되는 전화번호는 회원 관리 목적 범위에서 관리되고 있으며, 데이터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화면 상단에 고지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카카오는 또 매거진 브런치 채널을 통해 한국광고학회에 의뢰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해당 조사에서 브랜드 메시지는 문자메시지(SMS)보다 소비자 신뢰도가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카카오는 이 결과를 근거로 브랜드 메시지가 단순한 스팸성 광고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2011년 문자, 2012년 보이스톡… 카카오 vs 통신업계 갈등사
브랜드 메시지를 둘러싼 갈등은 처음이 아니다. 카카오는 스마트폰 시대 메신저 ‘카카오톡’으로 급성장한 기업이다. 카카오톡은 문자, 음성통화, 영상통화 등 통신업계 핵심 서비스와 직접 경쟁했다.
2011년 카카오톡이 급성장하면서 문자(SMS) 수익이 줄자 통신사들은 카카오톡 차단을 검토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당시 통신사들은 “망 부하는 맞지만 차단은 아니다”라고 해명하며 진화에 나섰다.
이후 갈등은 음성통화로 번졌다. 2012년 카카오는 카카오톡에 ‘보이스톡’을 추가했고, 통신업계는 “망 부하를 유발한다”며 반발했다. 당시 카카오톡은 이미 가입자 4600만명을 확보하며 ‘국민 메신저’로 자리잡은 상태였다.
보이스톡 논란은 2015년 인터넷 전화 전면 허용으로 마무리됐다. 3년간 이어진 갈등이 제도 변화로 종결된 것이다. 이후 카카오는 영상통화 ‘페이스톡’까지 서비스 영역을 넓혔다.
이번 브랜드 메시지 논란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기업용 메시지 시장은 2025년 1조4000억원 규모로 전망된다. 지금까지 이동통신 3사와 관련 기업이 주도해온 시장에 카카오가 브랜드 메시지로 진입하면서 갈등이 다시 불붙었다는 분석이다.
최경진 가천대학교 법학과 교수는 “기업 메시지 시장은 이동통신사뿐 아니라 통신사를 통한 2차 시장까지 활성화되어 있는데, 카카오 브랜드 메시지가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상황이라 통신업계가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시민단체가 제기하는 개인정보 문제는 카카오가 가진 개인정보를 누가 주도적으로 활용하는지가 핵심이다”라며 “광고주가 가진 정보를 카카오가 활용해 맞춤형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이라면 문제 소지가 생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