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전사 인공지능(AI) 역량을 모아 사내 독립 조직인 ‘AI CIC(Company in Company)’를 출범한다. 유영상 대표는 25일 전 구성원 대상 타운홀 미팅을 주재하고 AI 혁신 속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 전환을 선언했다.
유영상 대표는 “급변하는 AI 환경 변화에 따라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AI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수요자 관점의 내부 AI 혁신과 공급자 관점의 AI 사업 혁신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전사 AI 역량을 결집한 정예화된 조직 체계인 AI CIC를 새롭게 출범시킨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새로 출범하는 AI CIC를 SK텔레콤 AI 사업 주체이자 SK그룹 전체의 AI 사업을 이끄는 핵심 조직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또한 사내 시스템, 조직 문화, 구성원 AI 역량 강화 등 내부 혁신도 병행할 예정이다.
회사는 ▲에이닷(A.) 서비스 ▲기업 대상 에이닷 비즈(A. Biz) 서비스 ▲AI 데이터센터(DC) 사업 ▲글로벌 AI 제휴·투자 ▲AI 연구개발(R&D) ▲메시징·인증 사업 등을 AI CIC 체제로 재편해 사업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혁신을 추진한다. AI CIC 대표는 유영상 대표가 겸임하며, 세부 조직 개편은 10월 말 시행할 예정이다.
새로 출범하는 AI CIC는 환경 변화에 유연하고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빠르고 가벼운 조직 체계를 갖춘다. 또한 구성원의 실력을 기반으로 성과 지향과 지속적인 도전을 장려하는 조직문화를 구축한다.
AI CIC는 향후 5년간 약 5조원 규모의 AI 투자를 단행해 2030년까지 연 매출 5조원 이상을 달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AI ‘수요(AI B2C, AI B2B)’와 ‘공급(AI 인프라)’의 안정적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 독자 생존이 가능한 수익 기반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AI B2C’ 부문은 에이닷을 중심으로 국내외 가입자 기반을 확대해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를 구축한다. ‘AI B2B’ 부문은 에이닷 비즈 등 에이전틱(Agentic) AI 서비스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입증하고 제조 AI 분야에서 레퍼런스를 확보하는 등 사업 확장을 가속화한다.
‘AI DC’ 사업은 글로벌 빅테크를 주요 고객으로 AI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고, 정부 주도 사업에 참여해 국내 최고 수준의 AI DC 사업자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분산돼 있던 AI 기술 자산을 통합해 SK텔레콤과 SK그룹 전체의 AI 기술과 운영을 지원하는 ‘AI 플랫폼’ 역할을 강화한다. 아울러 정부·산업·민간의 다양한 AI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AI 모델’ 확보 전략도 병행한다.
이 밖에도 디지털 트윈, 로봇 등 미래 성장 영역에 대한 연구개발과 AI 풀스택(Full Stack) 역량 기반의 국내외 파트너십 확장도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
유영상 대표는 “SK텔레콤 AI CIC는 서비스, 플랫폼, AI DC,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등 AI 전 분야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사업자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내 AI 생태계 구축에 중심 역할을 하고, 국가 AI 전략 성공에도 기여하는 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