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추가 해킹 피해 사실이 드러난 KT와 롯데카드 대표가 나란히 국회 청문회에 출석한다. 고객 정보 유출이 더 크게 확산된 데 따른 조치다.
18일 국회 등에 따르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는 9월 24일 KT·롯데카드 해킹 청문회를 개최하기로 하고 19일 전체회의를 열어 증인 명단 등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과방위가 24일 열리는 해킹 청문회에 롯데카드 대표를 부르기로 했다”며 “정무위원회가 부르지 않으면 과방위에서 증인으로 채택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롯데카드가 과방위 청문회에 출석하는 것이 맞다”고 확인했다.
당초 과방위는 24일 열리는 청문회 증인 명단에 김영섭 대표, 홍범식 대표, 서창석 KT 네트워크부문장 부사장, 황태선 KT 정보보안실장 상무(CISO), 홍관희 전무, 이종현 SK텔레콤 통합보안센터장 부사장(CISO) 등을 포함했다. 하지만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는 막판 조정 끝에 명단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홍 대표의 자리는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 전무(CISO)가 대신할 예정이다. 다만, 19일 전체회의 의결 결과에 따라 상황이 바뀔 가능성도 있다.
롯데카드는 KT와 함께 최근 추가 침해 정황이 공개되면서 청문회 출석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대통령의 발언이 롯데카드 대표 출석의 결정적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KT와 롯데카드가 추가 침해 사실을 발표한 날, 이재명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주요 통신사와 금융기관에 대한 해킹으로 국민 피해가 계속 늘고 있다”며 “해킹 피해 최소화를 위한 근본적인 종합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앞서 롯데카드는 해킹 사고로 약 200기가바이트(GB) 규모의 데이터가 유출돼 297만명의 회원 정보가 빠져나갔다고 밝혔다. 이 중 28만명의 정보에는 카드번호, 비밀번호 앞 두 자리, CVC 번호 등이 포함됐다. 이는 롯데카드가 9월 1일 금융감독원에 보고한 유출 규모 1.7GB보다 훨씬 많은 수치다.
KT 역시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 2개 외에 추가로 2개의 기지국 ID가 더 발견됐고, 기존에 유출된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 외에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휴대전화 번호 등도 추가로 유출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피해자 수는 기존 278명에서 362명으로 늘었고, 피해 금액도 2억4000만원으로 증가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
- [단독] 티맵 가입자 개인 정보 팔렸나…정부 조사 나서
- [단독] 국가 연구기관 10년간 해킹 시도 2776건…“SKT·KT는 빙산의 일각”
- [단독] 개인정보위 ‘소액결제 해킹’ KT 조사 착수
- [Leaders] [단독] 민관합동조사 거부한 LG U+, 1200대 서버 긴급 점검 착수
- “보안 없인 AI 강국 없다”… 정부, 국가 보안 체계 전면 재점검
- 롯데카드 해킹사태, MBK 책임론 확산…“롯데 브랜드 훼손 불가피”
- 방통위 ‘고객 정보 유출’ 롯데카드 연계정보 긴급점검
- 해킹보다 더 불신 키우는 KT의 말바꾸기
- KT·롯데카드 '미적지근 보상'에 분통 터진 고객들
- 김민석 “해킹과의 전쟁…정보보호 대책 마련 최우선”
- 개인정보위 ‘롯데카드 고객정보 유출’ 조사 착수
- KT 소액결제 해킹, 특정 계층 아닌 전 세대 피해 드러나
- 롯데카드 보안예산 비중 5년새 급감… MBK “투자 계속했다” 반박
- “생색내기”… ‘SKT 데이터 50기가 제공’ 불만족인 고객들
- 최수진 의원 “KT의 11차례 번복… 진상규명 시급”
- 김영섭·조좌진 대표 “정보 유출, 중대한 실패”…국민에 고개 숙여
- “AI 3대 강국 얘기할 게 아냐”… 국회, 정부도 질타
- 통신3사 수장, 모두 10월 국감 나온다
- 올해 8월까지 46만건… 공공기관 사칭 스미싱, 4년 만에 26배 이상 급증
- AI 3강 도약 위한 정책 대전환 방안 모색한다
- SKT, 사내 ‘AI CIC’ 출범… “5년간 5조 투자”
- 보호서비스 무용지물·기습 배상약관 변경… KT의 소비자 기만
- KT해킹 통로 ‘펨토셀’, 정보보호 인증에서 누락
- SKT·KT·롯데카드 해킹 여파… 국회 “특사경 필요”
- 이정헌 의원, ‘AI 시대 안정적인 네트워크’ 정책 방안 모색
- 통신3사 연 1회 위험식별검사 실시 의무법 발의
- 아이폰 효과 저조… 해킹 쓰나미에 휩쓸린 폰 유통 시장
- “URL 링크 포함, 정부시스템 장애 문자는 100% 스미싱”
- 추석 해외여행 80%↑…로밍 서비스 강화하는 통신사
- 해킹 쓰나미에 국회 ‘예방 입법’ 봇물
- 방통위, 10월 1일 역사 속으로… 이진숙 위원장, 자동 면직
- 최수진 의원 “구글코리아, 법인세 6500억 이상 회피”
- 이해민 의원 “방통위, 롯데카드 해킹 피해 키웠다”
- SKT, 자급제 전용 디지털 통신 서비스 ‘에어’ 선보여
- 자급제 서비스 내놓은 SKT… “서비스 가치로 시장 도전”
- “해킹·아이폰 여파 없었다”… 번호이동 두 달 연속 60만명대 머물러
- ISMS-P 인증받고도 개인정보 털린 기업 27개 달해
- 추석 연휴, 이통 3사 영상통화 요금 ‘0원’
- 건강검진 할인까지 되는 10월 통신사 멤버십 열전
- “손흥민 2조 효과 잡자”… 쿠팡플레이·애플 중계 각축전
- 정부·통신 사업자, 불법스팸 대응 공조
- “[국제발신] 클릭 금지”… 정부·공공기관 사칭 문자 주의
- 1168만명 선택약정 할인 안 받아… 통신사 2조2776억 수익
- 과기정통부 산하기관 5년간 비위행위 453건 적발
- ‘전체 8% 비중’ 통신3사 자회사, 알뜰폰 가입자 절반 차지
- 정부·SKT·KT·LG U+·삼성·애플, 연내 폰 유통 종합시책 수립
- 통신3사, 추석 연휴 이동통신 품질 집중 관리
- 배경훈 부총리, 플랫폼사 CEO·CISO와 정보보호 강화 방안 논의
- ‘온라인피해365센터’ 사칭 피해 주의보
- 황정아 의원 “KT 파악 못한 소액결제 피해자 19명 더 있다”
- “공공망 뚫린다” 우정사업본부 해킹 시도 5만건…정부 대응 시급
- 정책은 뒤로, 싸움은 앞으로…국감의 ‘불변의 풍경’ [줌인IT]
- [Leaders] [단독] LGU+ ‘OTP인증 서버’ OS도 재설치… “계획된 일정 따라 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