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AI 서비스 고도화를 내세워 ‘내로남불’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AI 브리핑 등 기능으로 콘텐츠 제공자의 트래픽을 흡수하면서, 정작 자사 콘텐츠는 검색되지 않도록 차단했다는 것이다. 대표적 피해자는 언론사다.

이해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조국혁신당)이 10월 1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정감사에서 김광현 네이버 검색·데이터 플랫폼 부문장 부사장(오른쪽)에게 질의하고 있다. / 국회방송 갈무리
이해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조국혁신당)이 10월 1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정감사에서 김광현 네이버 검색·데이터 플랫폼 부문장 부사장(오른쪽)에게 질의하고 있다. / 국회방송 갈무리

이해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조국혁신당)은 13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정감사에서 김경환 네이버 검색·데이터플랫폼 부문장(부사장)에게 “창작자가 보호받지 못하면 네이버뿐 아니라 이용자도 피해를 입는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보고서에 따르면 AI 요약이 노출되면 이용자가 요약만 보고 끝내는 경우가 많다”며 “구글 AI 요약이 도입된 후 비즈니스 인사이더의 트래픽은 55%, 광고 수익은 65% 감소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AI 요약 기능을 먼저 도입한 구글은 미국에서 소송까지 당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또 “언론사들은 AI 학습 과정에서 발생한 저작권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AI 요약 기능까지 등장해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특히 네이버가 콘텐츠 제공자에게는 트래픽을 돌려주지 않으면서, 자사 콘텐츠는 보호를 이유로 크롤링을 차단했다”고 비판했다.

이해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조국혁신당)이 10월 1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정감사에서 김광현 네이버 검색·데이터 플랫폼 부문장 부사장에게 질의하고 있다. / 국회방송 갈무리
이해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조국혁신당)이 10월 1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정감사에서 김광현 네이버 검색·데이터 플랫폼 부문장 부사장에게 질의하고 있다. / 국회방송 갈무리

이해민 의원은 또 “AI 브리핑은 환각과 편향 가능성을 줄이고 신뢰도를 높이는 장치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AI가 원문을 잘못 이해해 틀린 요약을 내놓아도 수정하거나 구제할 수 있는 절차가 없다는 것이다. 잘못된 요약이 확산돼도 원문을 직접 확인하는 이용자가 적어, 오히려 오류와 편향이 강화된다는 우려다.

김경환 부사장은 이에 대해 “AI 브리핑이 노출되면 창작자에게 전달되는 트래픽이 감소하는 것이 사실이다”라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 AI 브리핑이 인용하는 자료의 신뢰성 문제도 제기됐다. 김경환 부사장은 “AI 브리핑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출처는 네이버 블로그, 카페, 공공기관, 사전, 언론사, 쇼핑 순”이라며 “블로그나 카페에 잘못된 정보가 올라오면 그 내용을 AI가 요약할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정부는 언론사 등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AI 기업이 공정하게 수익을 나누도록 ‘AI 상생 가이드라인’과 정산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