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에 77조원을 훌쩍 뛰어넘는 매출을 올리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분기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50.5% 증가하며 호실적을 거뒀다. 영업이익은 2018년 1분기(15조6400억원)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14조1200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는 전자업계의 계절적 비수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및 원자재값 급등,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와 이에 따른 부품 공급 차질 등 대외 악재도 많았다. 하지만 반도체 선방, 스마트폰(모바일) 판매 호조, 디스플레이 호실적 등 전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하면서 역대급 실적을 이뤄냈다. 특히 반도체와 모바일은 각각 영업이익의 60%와 27%를 차지하며 삼성전자의 실적을 이끌었다.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라인 / 삼성전자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라인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28일 1분기 경영실적을 집계한 결과 연결기준으로 매출 77조7800억원, 영업이익 14조12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2021년 동기 대비 매출은 18.95% 늘었고, 영업이익은 50.5% 증가했다.

1분기 실적은 7일 발표된 잠정 실적(매출 77조원, 14조1000억원) 대비 매출이 7800억원 이상 늘었다.

삼성전자는 2021년 3분기(73조9800억원)에 매출 70조원을 처음 돌파한 뒤 4분기(76조5700억원)에 이어 올해 1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매출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반도체 실적 선방과 스마트폰 신제품 판매 호조 등에 힘입은 것으로 풀이된다.

DS(반도체) 부문은 1분기에 매출 26조8700억원, 영업이익 8조4500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매출은 역대 분기 최대치다. 시장 우려와 달리 D램 가격 하락세가 제한적인 데다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서버용 D램 수요가 견조한 덕분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서버용·PC용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전환을 통해 서버용 메모리가 역대 최대 분기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며 "예상보다 가격 하락도 완만해 시장 전망을 웃도는 실적을 거뒀다"고 설명했다.

시스템LSI는 모바일 비수기 영향으로 시스템온칩(SoC)과 이미지센서(CIS) 공급이 감소했으나, 환율 효과와 판가 인상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갤럭시S22 울트라(왼쪽)와 갤럭시S22 플러스 / 삼성전자
갤럭시S22 울트라(왼쪽)와 갤럭시S22 플러스 / 삼성전자
디스플레이는 1분기에 매출 7조9700억원, 영업이익 1조900억원을 기록했다. 중소형 패널은 스마트폰 주요 고객사의 판매 호조와 게이밍 등 신규 응용처 판매 확대로 1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DX(모바일과 가전) 부문은 매출 48조700억원, 영업이익 4조5600억원의 실적을 거뒀다. 모바일을 담당하는 MX(옛 IM)) 부문은 3조82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신제품 갤럭시 S22 울트라를 중심으로 플래그십이 판매 호조를 보인데 따른 것이다.

영상디스플레이는 네오(Neo) QLED, 초대형 등 프리미엄 고부가 전략제품 판매 확대로 시장 수요 감소 상황에서도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성장하고 이익도 개선됐다.

생활가전은 비스포크를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판매가 성장하며 분기 최대인 15조4700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1분기 실적 호조에는 원화 약세에 따른 환율 영향도 작용했다. 삼성전자는 환율이 영업이익에 전 분기 대비 3000억원 수준의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1분기 시설 투자는 7조9000억원이다. 사업별로는 반도체 6조7000억원, 디스플레이 7000억원 수준이다.

메모리는 수요 증가에 대비해 평택 3기 인프라 투자와 화성·평택·시안 공정 전환을 중심으로 시설투자가 집행됐다. 파운드리는 5나노 이하 첨단공정 개발과 생산능력 구축을 중심으로 투자가 진행됐다.

삼성전자는 분기배당으로 보통주, 종류주 1주당 361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보통주 0.5%, 우선주 0.6%다. 배당금총액은 2조4521억5359만9250원이다. 지급 예정일은 5월17일이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