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넷째 주, 국내 주요 가상자산거래소에서 유동성 프로토콜, 지적재산권(IP) 기반 실물자산토큰(RWA), 커뮤니티형 밈코인 등 다양한 영역의 코인들이 새롭게 상장됐다.22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 업비트·빗썸·코인원·고팍스 등 국내 코인거래소 4곳에서 메테오라(MET), 아리아 프로토콜(ARIAIP), 에이프앤페페(APEPE) 등 3개의 프로젝트가 거래를 시작했다.메테오라는 솔라나 기반 탈중앙화 유동성 프로토콜, 아리아 프로토콜은 IP 금융 플랫폼, 에이프앤페페는 커뮤니티 주도형 밈코인이다.◆ 메테오라(MET)메테오라
11월 둘째 주, 국내 주요 가상자산거래소에서 레이어1, 탈중앙화 금융(DeFi·디파이), 정보 금융(InfoFi·인포파이) 등 다양한 영역의 코인들이 상장됐다.8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 업비트·빗썸·코인원 코인거래소 3곳에서 카이트(KITE), 모멘텀(MMT), 인튜이션(TRUST), 팔콘파이낸스(FF) 등 4개의 프로젝트가 거래를 시작했다.카이트는 레이어 1 블록체인 인프라, 모멘텀은 디파이 프로토콜, 인튜이션은 인포파이 네트워크, 팔콘파이낸스는 디파이 프로토콜이다.◆ 카이트(KITE)카이트(KITE)는 AI 에이전트
10월 다섯째 주,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가상자산 거래소 4곳에서 엔소(ENSO), 일드길드게임즈(YGG), 렉트(REKT), 도그위프햇(WIF) 등 4개의 프로젝트가 거래를 시작했다.1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엔소는 블록체인 개발 자동화 플랫폼, 일드길드게임즈는 돈 버는 게임(P2E) 자산에 투자하는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렉트는 커뮤니티 중심의 문화 브랜드 생태계, 도그위프햇은 밈코인 프로젝트다.◆ 엔소(ENSO)엔소(ENSO)는 개발자가 다양한 블록체인 및 프로토콜과 상호 작용 작업을 단순화하는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
10월 넷째 주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에서 총 10개의 코인이 상장됐다. 이번에 상장된 프로젝트들은 탈중앙화 과학 연구(디사이·DeSci), 탈중앙화금융(디파이·DeFi), 인프라, 웹3 기반 창작 플랫폼, 실물자산토큰(RWA)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울렀다.25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 신규 상장된 종목은 바이오프로토콜(BIO), 신퓨처스(F), 클리어풀(CPOOL), 조라(ZORA), 리콜(RECALL), 테더 골드(XAUT), 레이어쓰리(L3), 메테오라(MET), 카미노파이낸스(KM
10월 셋째 주,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빗썸, 코인원에서 총 6개의 코인이 상장됐다. 탈중앙화금융(디파이·DeFi), 인프라,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의 프로젝트들을 시장에 선보였다.이번 주 신규 상장된 종목은 조라(ZORA), 인피닛(IN), 두들즈(DOOD), 일드베이시스(YB), 리도다오(LDO), 신디케이트(SYND)다. 조라는 창작 플랫폼, 인피닛은 AI 디파이 플랫폼, 두들즈는 AI 기반 엔터테인먼트 및 콘텐츠 프로젝트, 일드베이시스는 디파이 인프라 프로토콜, 리도다오는 디파이 플랫폼, 신디케이트는 앱체인 인
10월 둘째 주, 업비트·빗썸·코인원 등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는 AI, 인프라, 게임 등 웹3 기술의 실제 적용 가능성이 높은 영역 프로젝트들을 시장에 선보였다.이번 주 신규 상장된 종목은 두들즈(DOOD), 아노마(XAN), 케이젠(KGEN) 등 총 3개다. 두들즈는 AI 기반 엔터테인먼트 및 콘텐츠 프로젝트, 아노마는 인프라 프로젝트, 케이젠은 웹3 기반 게임 생태계 플랫폼이다.◆ 두들즈(DOOD)두들즈(DOOD)는 지난 2021년 1만개로 구성된 NFT 컬렉션을 발행해 엔터테인먼트 분야로 확장하고 있는 프로젝트다. 두들즈
10월 첫째 주, 업비트·빗썸·코인원 등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는 웹3, 탈중앙화 금융(디파이·DeFi), 스테이블코인, 실물자산(RWA), 밈 코인 등 다양한 영역의 프로젝트들이 새롭게 상장되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이번 주 신규 상장된 종목은 슈퍼버스(SUPER), 오덜리(ORDER), 팔콘파이낸스(FF), 솜니아(SOMI), 더블제로(2Z), 플라즈마(XPL), 유에스디이(USDE), 미라 네트워크(MIRA), 아스터(ASTER), 오픈에덴(EDEN), 에이프앤페페(APEPE) 등 총 11개다.슈퍼버스는 웹3 게임 플
9월 넷째 주,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는 탈중앙화 금융(디파이·DeFi), AI 인프라, 온체인 게임, 커뮤니티 밈코인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들이 새롭게 상장됐다.이번 주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거래소에는 썬(SUN), 제로지(0G), 플루이드(FLUID), 인피닛(IN), 비쓰리(B3), 플라즈마(XPL), 헤미(HEMI), 비트레이어(BTR), 팝캣(POPCAT), 아반티스(AVNT), 모포(MORPHO), 스테이크스톤(STO), 리네아(LINEA) 등 13개의 가상자산을 거래할 수 있게 됐다.썬은 디파이 플랫폼,
9월 둘째 주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가상자산 거래소 4곳에서 오픈렛저(OPEN), 리네아(LINEA), 펌프펀(PUMP), 플록(FLOCK), 월드코인(WLD), 월드리버티파이낸셜유에스디(USD1), 포털투비트코인(PTB), 이글스랜딩(EGL1), 에테나(ENA) 9개 가상자산이 거래를 시작했다. 13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OPEN은 AI 기여 추적에 특화된 독립형 이더리움 레이어2 블록체인, LINEA는 이더리움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레이어2 블록체인, PUMP는 솔라나 기반의 탈중앙화 밈코인 발행 플랫폼, FLO
7월 마지막 주, 이더리움 롤업 생태계 확장과 AI 데이터 인프라 구축을 겨냥한 프로젝트들이 주요 거래소에 잇따라 상장됐다.이번 주 업비트와 코인원, 빗썸 등 국내 거래소에는 옴니네트워크(OMNI), 옵티미즘(OP), 체인베이스(C), 로아코어(ROA) 등이 새롭게 거래를 시작했다. OMNI는 롤업 간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레이어1, OP는 대표적인 이더리움 롤업 토큰, C는 AI 데이터 인프라 특화 옴니체인 네트워크, ROA는 NFT 기반 아트테크 서비스형 프로젝트다.◆ 옴니네트워크(OMNI)옴니네트워크는 이더리움 롤업 간 상호운
7월 넷째주 주요 거래소에 상장된 가상자산 프로젝트들은 비트코인 담보 프로토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밈코인 등이다.한 주간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국내 거래소에는 얄라, 엑스디씨, 모그, 리스타, 멀린이 새로 상장됐다. 얄라는 비트코인을 담보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는 플랫폼, 엑스디씨는 기업형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모그는 인터넷 밈 문화에서 파생된 커뮤니티 코인이다. 리스타와 멀린은 각각 BNB 및 비트코인 기반 인프라를 활용하는 디파이·레이어2 프로젝트다. ◆ 얄라(YALA)얄라(YALA)는 비트코인 기반 유동성 프로
7월 셋째주 국내 주요 거래소에는 블록체인 인프라, 커뮤니티 기반 밈코인, 런칭 플랫폼 토큰 등 다양한 성격의 가상자산이 새로 상장됐다.18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칼데라(ERA), 이클립스(ES), 펌프닷펀(PUMP), 팝캣(POPCAT) 등이 업비트, 빗썸, 코인원에 각각 상장됐다.◆ 칼데라(ERA)칼데라(Caldera)는 서비스형 롤업(Rollup-as-a-Service) 플랫폼이다. 옵티미즘 베드록, 아비트럼 니트로 등 검증된 롤업 스택을 활용해 맞춤형 레이어2·레이어3 롤업을 손쉽게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메타레이어
7월 둘째주 주요 거래소에 상장된 가상자산 프로젝트들은 크로스체인, 비트코인 스테이킹, 탈중앙 스트리밍, 밈코인 등 다양한 콘셉트를 내세웠다.한주간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국내 거래소에는 하이퍼레인, 바빌론, 라이브피어, 도그위프햇 등이 새로 상장됐다. 하이퍼레인은 블록체인 간 메시징 솔루션, 바빌론은 비트코인 네이티브 스테이킹 지원 레이어1, 라이브피어는 탈중앙화 영상 스트리밍, 도그위프햇은 소라나 기반 커뮤니티 밈코인으로 각각 다른 특징을 지닌다.◆ 하이퍼레인(HYPER)하이퍼레인(Hyperlane)은 중앙화된 중개자 없이
7월 첫째주 주요 거래소에 상장된 가상자산 프로젝트들은 지문 인증, 실물자산 토큰화, 온체인 자동화, 리스테이킹 등 각기 다른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휴머니티 프로토콜은 지문 정보를 활용한 신원 인증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뉴턴프로토콜은 반복 매수·스왑 등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자동 실행되는 온체인 에이전트 구조를 구현했다. 만트라는 실물자산 토큰화(RWA)에 특화된 레이어1 블록체인이고, 프래그메트릭은 솔라나 기반 리퀴드 리스테이킹 프로토콜이다. 무뎅은 커뮤니티 기반 밈코인이지만, 온체인 생태계 확장을 위한 유틸리티 부여 시도
6월 셋째주 주요 거래소에 상장된 가상자산들은 실물자산 금융(RWA), 스마트컨트랙트 보안, 스테이블코인 활용 디파이 등 실용성 기반의 테마를 중심으로 구성됐다.20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빗썸과 업비트, 코인원 등에 총 다섯 개 프로젝트가 신규 상장됐다. 이들은 각기 다른 네트워크 위에서 운영되며, 고도화된 탈중앙화 금융 인프라 구축, 미래 수익 토큰화, 실시간 보안 기능 등에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후마파이낸스는 RWA 기반의 페이파이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으며, 포르타는 AI 기반 보안 기능을 통해 실시간 위협 감지에 집중
6월 둘째주 국내 주요 거래소에 상장된 신규 가상자산들은 AI 에이전트, 인터체인, 커뮤니티 밈 등 각기 다른 정체성을 띠고 있다.13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업비트와 빗썸, 코인원 등 주요 거래소에 총 다섯 개 프로젝트가 신규 상장됐다. 이들은 단순 결제 수단을 넘어 생태계 내 실사용 기반의 유틸리티 구조를 강조하고 있으며, 메인넷 독립 운영, 커뮤니티 기반 확장, 데이터 플랫폼 활용성 등에서 차별화된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펀디에이아이, 밸런스 등은 AI 활용과 웹3 사용자 경험 개선을 전면에 내세웠고, 엑셀라는 인터체인 인프
6월 둘째주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 상장된 신규 코인들은 뚜렷한 기능을 전면에 내세운 인프라 중심 프로젝트들이다.7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스트리밍 기술, RPC 네트워크, 오프체인 연산 인프라, 컨슈머 특화 L2 체인 등 다양한 기능을 담은 프로젝트들이 이번 주 원화 마켓에 상장됐다. 이들은 대체로 거래만을 위한 토큰보다는, 블록체인 생태계 내부에서 실제 작동하는 구조 속에서 활용되는 유틸리티 성격이 강하다는 평가다.특히 일부 프로젝트는 ZK(영지식증명) 기술을 전면 도입하거나, 고성능 데이터 처리와 구조적 검증을 중심으로
5월 마지막 주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 상장된 신규 코인들은 공통적으로 뚜렷한 기능성을 갖춘 유틸리티 토큰이라는 특징을 보였다.31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게임 퍼블리싱부터 데이터 인프라, 스트리밍 기술, 블록체인 보안까지 이번 주 원화 마켓에 진입한 프로젝트들은 실제 사용처를 기반으로 구조화된 웹3.0 인프라 성격이 짙다는 분석이다.전통적인 서사 중심 코인이나 테마성 프로젝트와 달리, 이번 상장 종목들은 각자의 기술적 활용 방식과 대상 생태계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거래만을 위한 토큰이 아닌, 서비스 이용과 생태계 운영을
5월 넷째주◆ 쑨(SOON)상장 거래소▷ 업비트 (BTC, USDT 마켓)▷ 빗썸 (KRW 마켓)상장일▷ 5월 23일거래 기준가▷ 추후공개지원 네트워크솔라나(Solana)특징쑨은 블록체인 생태계 내 유동성 파편화와 체인 간 상호운용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다. 이를 위해 Super Adoption Stack(SAS)을 개발해 다양한 네트워크 간의 심리스(Seamless)한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쑨 팀은 자체 메인넷을 포함한 '쑨 스택(SOON Stack)'을 구축하고, SVM 롤업 개발이 가능한 구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