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첫째 주, 업비트·빗썸·코인원 등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는 웹3, 탈중앙화 금융(디파이·DeFi), 스테이블코인, 실물자산(RWA), 밈 코인 등 다양한 영역의 프로젝트들이 새롭게 상장되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번 주 신규 상장된 종목은 슈퍼버스(SUPER), 오덜리(ORDER), 팔콘파이낸스(FF), 솜니아(SOMI), 더블제로(2Z), 플라즈마(XPL), 유에스디이(USDE), 미라 네트워크(MIRA), 아스터(ASTER), 오픈에덴(EDEN), 에이프앤페페(APEPE) 등 총 11개다.
슈퍼버스는 웹3 게임 플랫폼, 오덜리는 오더북 기반 거래 인프라, 팔콘파이낸스는 온체인 유동성 및 합성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솜니아는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호환 레이어 1 블록체인, 더블제로는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다. 플라즈마는 레이어 1 블록체인, 유에스디이는 합성 달러 스테이블코인, 미라 네트워크는 AI 검증 시스템, 아스터는 탈중앙화 거래소, 오픈에덴은 RWA 토큰, 에이프앤페페는 밈 프로젝트다.
◆ 슈퍼버스(SUPER)
슈퍼버스(SUPER)는 웹3 게임 이용자들이 다양한 게임과 서비스를 하나의 환경 내에서 넘나들 수 있도록 설계된 게임 중심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단일 게임이나 디앱에 국한하지 않고, 여러 웹3 게임, NFT, 거버넌스, 인프라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지향한다. 슈퍼버스는 인게임 유틸리티, 스테이킹 및 거버넌스 참여 용도로 사용된다. 업비트(KRW·BTC·USDT 마켓)에 9월 29일, 빗썸(KRW 마켓)에 10월 2일 상장됐으며, 거래 기준가는 각각 730.36원, 848원이다.
◆ 오덜리(ORDER)
오덜리(ORDER)는 오더북 방식의 거래 인프라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다. 오덜리는 디파이 디앱에 거래 매칭 엔진과 여러 블록체인에 존재하는 유동성을 하나의 오더북으로 집계하는 유동성 계층을 제공한다. 오덜리는 자사 네트워크 유틸리티 토큰으로, 스테이킹과 거버넌스 용도로 사용된다. 업비트(BTC·USDT 마켓)에 9월 29일 상장됐으며, 거래 기준가는 0.00000216 BTC 또는 0.2376 USDT다.
◆ 팔콘파이낸스(FF)
팔콘파이낸스(FF)는 모든 유동성 자산을 담보로 받아 온체인 유동성을 발행하는 프로토콜이다. 가상자산, 스테이블코인, 알트코인 등 사용자가 보유한 다양한 유동 자산을 담보로 삼아 USDf라는 합성 달러를 발행하고, 이를 통해 온체인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플랫폼이다. 팔콘파이낸스는 자사 프로토콜에서 거버넌스 참여, 신규 제품 및 기능 접근, 경제적 혜택에 이용된다. 업비트(KRW·USDT 마켓)와 9월 29일 상장됐으며, 매도 최저가 기준 각 마켓에서 760.1원, 0.53 USDT이었다. 빗썸(KRW 마켓)에도 같은 날 상장됐으며, 거래 기준가는 665원이다.
◆ 솜니아(SOMI)
솜니아(SOMI)는 초당 수백만 건의 트랜잭션 처리와 1초 미만의 완결성을 구현한 EVM 호환 레이어 1 블록체인으로, 소셜, 게이밍, 메타버스 등 고속·대량 처리가 필요한 디앱을 온체인에서 구현하는 데 최적화된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솜니아의 네이티브 코인은 스테이킹, 가스비 지불, 거버넌스 용도로 사용된다. 솜니아도 업비트(KRW·BTC·USDT 마켓)와 빗썸(KRW 마켓)에 10월 1일 상장됐으며, 거래 기준가는 각각 988.91원, 1000원이다.
◆ 더블제로(2Z)
더블제로(2Z)는 블록체인 및 분산 시스템을 위한 고성능 물리 네트워크 인프라로, 퍼블릭 인터넷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설계된 저지연·고대역폭 기반 탈중앙 통신 계층이다. 더블제로는 네트워크 이용료 지불, 기여자 보상, 스테이킹 용도로 사용된다. 업비트(KRW·BTC·USDT 마켓)와 빗썸(KRW 마켓)에 10월 2일 상장됐다. 빗썸의 거래 기준가는 420원이다.
◆ 플라즈마(XPL)
플라즈마(XPL)는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위해 설계된 레이어 1 블록체인이다. 스테이블코인(USD₮ ) 전송 수수료 면제, 맞춤형 가스 토큰, 기밀 결제 지원, 그리고 글로벌로 확장 가능한 처리량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설계됐다. 플라즈마는 네트워크 수수료 지불, 검증자 보상, 거버넌스 참여 등 용도로 활용된다. 빗썸(KRW 마켓)에 9월 29일 상장됐으며, 거래 기준가는 2034원이다.
◆ 유에스디이(USDE)
유에스디이(USDE)는 에테나 생태계의 델타 중립 전략을 활용한 가상자산 기반 합성 달러 스테이블코인으로, 기초 담보 자산에 대해 델타 중립 헤지를 실행함으로써 페그 안정성을 유지한다. 유에스디이는 에테나의 자산연동형 토큰으로, 달러 스테이블코인으로서 사용자는 이를 활용해 디파이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스테이킹을 통해 sUSDe를 보유함으로써 프로토콜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다. 코인원(KRW 마켓)에 9월 29일 상장됐으며, 거래 기준가는 1430원이다.
◆ 미라 네트워크(MIRA)
미라 네트워크(MIRA)는 탈중앙화된 합의를 기반으로 하여 환각과 편향을 최소화하는 AI 검증 시스템으로서, AI가 생성한 결과물을 단일 신뢰 주체에 의존하지 않고도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다. 미라는 미라네트워크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AI 검증을 위한 스테이킹 참여 및 보상 수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접근 및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사용을 위한 결제 수단, 생태계 내 앱 교환 수단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코인원(KRW 마켓)에 9월 29일 상장됐으며, 거래 기준가는 1587원이다.
◆ 아스터(ASTER)
아스터(ASTER)는 고성능 파생상품 거래에 특화된 탈중앙화 거래소(DEX)다. 사용자에게 현물 및 무기한 선물 거래를 모두 지원하며, 최대 1001배 레버리지를 제공한다. 아스터는 자사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리워드 참여 등에 활용된다. 코인원(KRW 마켓)에 9월 30일 상장됐으며, 거래 기준가는 2661원이다.
◆ 오픈에덴(EDEN)
오픈에덴(EDEN)은 미국 국채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RWA 토큰화 프로젝트로, 기관투자자, 탈중앙 자율조직(DAO) 재무 담당자, 웹3 기업 등을 주요 대상으로 안정적이고 유동성이 높은 온체인 현금 관리 수단을 제공한다. 주요 서비스로는 미 국채를 온체인에서 토큰 형태로 제공하는 TBILL과 실물자산을 담보로 하여 발행되는 스테이블 코인 USDO 등이 있다. EDEN은 오픈에덴 생태계 내 유틸리티 토큰으로, 스테이킹, 거버넌스 참여, 보상, 수수료 할인 및 서비스 접근 수단으로 활용된다. 코인원(KRW 마켓)에 10월 1일 상장됐으며, 거래 기준가는 565원이다.
◆ 에이프앤페페(APEPE)
에이프앤페페(APEPE)는 ‘에이프’와 ‘페페’ 밈 문화를 결합한 밈 토큰 프로젝트로, 커뮤니티 주도 밈 토큰으로 출발했다. 폴리곤 네트워크 기반의 ERC‑20 호환 토큰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분류되며, 커뮤니티 참여 및 바이럴 확장성을 목표로 한다. 기본적으로 밈, 엔터테인먼트, 소셜 중심 기능이 강조된 토큰이며, 커뮤니티 확장 및 유머·브랜딩 요소가 중심이다. 코인원(KRW 마켓)에 10월 2일 상장됐으며, 거래 기준가는 0.0013원이다.
정서영 기자
insyoun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