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둘째 주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가상자산 거래소 4곳에서 오픈렛저(OPEN), 리네아(LINEA), 펌프펀(PUMP), 플록(FLOCK), 월드코인(WLD), 월드리버티파이낸셜유에스디(USD1), 포털투비트코인(PTB), 이글스랜딩(EGL1), 에테나(ENA) 9개 가상자산이 거래를 시작했다.
13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OPEN은 AI 기여 추적에 특화된 독립형 이더리움 레이어2 블록체인, LINEA는 이더리움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레이어2 블록체인, PUMP는 솔라나 기반의 탈중앙화 밈코인 발행 플랫폼, FLOCK은 온체인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통해 AI 개발과 조율을 분산·민주화하는 플랫폼이다.
WLD는 글로벌 디지털 신원 등의 구축을 목표로 하는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블록체인, USD1은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PTB는 비트코인을 여러 블록체인과 연결하는 크로스체인 탈중앙화 거래소(DEX) 인프라, EGL1 바이낸스코인(BNB) 스마트 체인 기반 밈코인, ENA는 이더리움 기반 합성 달러 프로토콜이다.
◆ 오픈렛저(OPEN)
오픈렛저는 커뮤니티가 소유한 데이터넷(Datanet)을 활용해 특화 AI 모델을 훈련·배포할 수 있는 AI·블록체인 인프라다. 사용자가 직접 새로운 Datanet을 만들거나 기존 공개 Datanet에 기여하고 모델을 구축·배포할 수 있다. 오픈렛저의 유틸리티 토큰인 OPEN은 플랫폼 내 서비스 접근·결제, 기여 보상, 스테이킹, 거버넌스 참여 수단으로 활용된다. 코인원(KRW 마켓)에서 9월 9일, 업비트(KRW, BTC, USDT 마켓)와 빗썸(KRW 마켓)에서 9월 10일 상장했다. 코인원 기준가는 1968원, 업비트는 1557.94원(0.00001003 BTC, 1.12달러), 빗썸은 1549원이다. 코인원·업비트·빗썸에서 모두 Ethereum(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 리네아(LINEA)
리네아는 이더리움 메인넷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레이어2 네트워크로 영지식 증명 롤업(zero-knowledge Proof Rollup) 방식을 채택했다. 특히 zkEVM(zero-knowledge Ethereum Virtual Machine) 구조를 기반으로 해 기존 EVM과 호환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존 이더리움 환경에서 사용되던 스마트 컨트랙트와 개발 도구를 별도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게 가능하다. 빗썸(KRW 마켓)에서 9월 10일, 업비트(KRW, BTC, USDT 마켓)에서 9월 11일 각각 상장했다. 기준가는 빗썸 38.86원, 업비트 39원(0.00000025 BTC, 0.028달러)이다. 빗썸, 업비트 모두 LINEA(리네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 펌프펀(또는 펌프닷펀, PUMP)
펌프펀은 솔라나 네트워크 기반에서 누구나 손쉽게 밈코인을 생성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설계된 탈중앙형 플랫폼이다. 자체 DEX인 PumpSwap 연동 구조를 통해 토큰 발행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을 온체인으로 자동화했다. 유틸리티 토큰인 PUMP는 커뮤니티 참여자에게 에어드롭, 캠페인 보상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업비트(KRW, USDT 마켓)와 빗썸(KRW 마켓)에 9월 11일 상장했다. 기준가는 업비트 7.76원(0.0056달러), 빗썸 7.812원이다.
◆ 플록(FLOCK)
플록은 참여자들이 모델, 데이터, 컴퓨팅 자원을 제공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환경을 조성해 오픈소스 개발과 데이터 소유권 보유를 장려하는 디지털 자산이다. 다양한 커뮤니티가 자신들의 목적에 맞는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AI 개발·배포의 프로세스를 혁신한다. 업비트(KRW 마켓)에 9월 9일 상장했다. 기준가는 435.4원이다. Base(베이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 월드코인(WLD)
월드코인은 이더리움 메인넷 위에 존재하는 레이어2 블록체인으로 전 세계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글로벌 디지털 신원 및 금융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한다. 영지식 증명을 통해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고 프라이빗키를 직접 보유함으로써 자유로운 글로벌 결제, 구매, 전송이 가능하다. 네이티브 토큰인 WLD는 거버넌스 용도로 사용된다. 업비트(KRW, BTC, USDT 마켓)에 9월 9일 상장했다. 기준가는 2046원(0.00001311 BTC, 1.47달러)다. World Chain(월드 체인), 이더리움, Optimism(옵티미즘) 세 가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유에스디(USD1)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유에스디는 글로벌 가상자산 업체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에서 제공하는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이다. 미국 달러에 대해 일대일(1:1)로 상환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단기 미국 국채, 미국 달러 예치금, 현금 등가물을 준비금으로 뒷받침된다. 코인원(KRW 마켓)에 9월 8일 상장했다. 기준가는 1390원원이다. BNB 스마트체인(Smart Chain)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 포털투비트코인(PTB)
포털투비트코인은 브릿지나 래핑 없이 다양한 블록체인 간 자산을 교환할 수 있는 크로스체인 DEX 인프라를 구축하는 걸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다. 유틸리티 토큰인 PTB는 스테이킹, 검증자 스테이킹·보상, 라이트 노드 보상, 유동성 공급 인센티브 등에 활용된다. 코인원(KRW 마켓)에 9월 9일 상장했다. 기준가는 95.20원이다.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 이글스랜딩(EGL1)
이글스랜딩은 토큰 발행 플랫폼 포닷밈(four.meme)에서 발행된 밈코인이다. 미국의 슈퍼히어로 만화를 컨셉으로 아메리칸 정신을 표방한다. 유틸리티 토큰인 EGL1은 프로젝트 내 세계관(슈퍼히어로 밈코인)의 상징 등으로 활용된다. 코인원(KRW 마켓)에 9월 11일 상장했다. 기준가는 48.98원이다. BNB 스마트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 에테나(ENA)
에테나는 이더리움 기반 합성 달러 프로토콜로 담보 풀(현물 자산·LST·스테이블코인)과 파생 포지션을 활용한 델타 중립 헷지 구조를 통해 합성 스테이블코인 USDe를 발행한다. USDe를 에테나 프로토콜에 예치하면 수익 적립형 sUSDe로 전환돼 파생시장 펀딩·베이시스와 담보 자산 보상에서 발생한 수익을 분배받게 된다. 스테이킹과 거버넌스, 유동성 공급 인센티브 등에 사용된다. 코빗(KRW 마켓)에 9월 10일 상장했다. 기준가는 1124.25원이다.
윤승준 기자
sjyo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