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으로 자원을 투입하고 서비스 전반에 생성형AI 기술을 활용하려고 합니다. 생성형AI가 적용된 서비스 관련 수익화 비용과 투자집행의 결과는 내년에 실적으로 나올 겁니다."
"AI 거품론 우려 없다…내년 수익화 가능"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1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콘퍼런스 '단24' 간담회에서 생성형AI의 수익화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자신했다. 최근 생성형 AI의 수익화가 쉽지 않다는 AI 거품론에 반박한 것이다.
최 대표는 "AI는 굉장히 얼리스테이지(이른 단계)에 있다"며 "생성형AI 시대가 되면서 비용을 많이 들일수록 성능이 잘나온다고 생각하지만 여전히 한계가 존재한다. 네이버가 지향하는 AI 기술 전략은 우리 사업에 꼭 필요한 기술을 서비스에 내재화시키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자체 AI 모델을 서비스에 적용하면 운영 비용이 적게 든다"며 "반도체 혹은 AI 자체를 내재화하면서 비용을 효율화하고 있기 때문에 타사 대비 더 유리한 면이 있다"라고 말했다.
성 총괄은 "AI 기술은 데이터를 얼마큼 더 넣느냐에 따라 차별화가 있을 수 밖에 없다"라며 "어린아이가 어릴때 학습해야 잘 흡수되는 것처럼 네이버는 서비스에 특화된 형태로 AI 모델을 만들어 투자 대비 효과는 더욱 높이는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내년 공개될 'AI 브리핑', 챗GPT보다 콘텐츠 풍부"
내년 상반기 공개되는 'AI 브리핑'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두고는 적은 '할루시네이션'과 콘텐츠의 풍부함을 꼽았다.
앞서 오픈AI는 이달초 '챗GPT 서치'를 공개했다. 챗봇형태로 검색이 가능하며 일반 검색엔진과 달리 꼬리질문을 통해 좀더 구체화된 답변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해 네이버의 AI 브리핑은 통합검색창에 질문이나 관련 키워드를 입력하면 화면을 스크롤하지 않아도 검색결과를 요약한 내용을 상단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
최재호 발견·탐색 프로덕트 부문장은 "챗GPT처럼 채팅 방식도 생각해봤지만 ‘큐:’를 통해 실험을 해보고 클로바X도 해봤지만 기본적으로 대화를 통해 뭔가를 검색한다는 것이 효용성이 높다고는 발견되지 않았다"라며 "그래서 AI가 후속 질문들을 도와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접근했다"고 말했다.
내년 상반기 별도 앱으로 선보이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출시 기대감도 내비쳤다.
이윤숙 쇼핑 사업 부문장은 "내년 1~2분기 사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라며 "별도앱 출시로 결정한 이유는 이용자들이 탐색하는 근간에 쇼핑 경험도 연결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해서다. 쇼핑앱에서 잡고자하는 니즈가 기존 네이버앱이 잘 잡지 못했던 니즈이기 때문에 (네이버앱과도)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진출을 두고는 사우디아라비아뿐 아니라 일본, 북미, 유럽 등까지 확장하는 전략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네이버랩스의 독자 디지털 트윈과 공간지능 기술을 집약한 '네이버 트윈XR 플랫폼' 기술의 경우 지난해 사우디아라비아 뿐 아니라 최근 일본의 NTT 동일본과도 협업관계를 구축한 상태다.
최수연 대표는 "네이버는 웹툰으로 북미, 유럽, 일본 시장에 진출했고, 포시마크와 스페인 왈라팝 등 글로벌 C2C 커머스 영역에서도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며 "자회사 크림도 일본 최대 리셀링 업체 소다와 합병해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으며 네이버는 제3국의 위치에서 차별화된 기회를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이선율 기자 melody@chosunbiz.com
- “맥락 이해한 검색, 개인화 기능 강화” 네이버의 ‘온 서비스 AI’
- 날개단 네이버·주춤한 카카오…3분기 실적 희비
- 최대실적 경신한 네이버…"AI 사업 강화·마진 개선 집중"
- 최수연 대표 "AI 검색결과 요약 기능, 내년 모바일 검색에 적용"
- 최수연 네이버 대표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내년 상반기 별도 앱 출시"
- 네이버 '사상 최대' 영업익 기록… 3분기 5253억원
- "하이퍼클로바X, 독도 등 민감 질문 답변도 척척"
- 네이버, 사우디에서 디지털 트윈 플랫폼 공개…사우디 전역 관심 UP
- 네이버, 사우디 주택공사와 JV 설립… 사우디 공공 플랫폼 시장 도전
- 네이버, 9년 새 검색 점유율 20%p 하락…"AI 등장에 검색시장 변화"
- "모바일 앱 체류 시간 늘려라"… 쇼핑·숏폼 강화 나선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