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새로운 도약을 위해 나설 것을 강조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5년 증권·파생상품시장 개장식에서 개장식사를 하고 있다./ 사진 = 뉴스1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5년 증권·파생상품시장 개장식에서 개장식사를 하고 있다./ 사진 = 뉴스1

정 이사장은 2일 서울 여의도 사옥에서 열린 ‘2025년 증권·파생상품시장 개장식’에서 “자본시장의 관리자로서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새로운 도약을 위해 중점 사항을 추진하고자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정 이사장은 “우리 자본시장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내수 경기 위축, 수출 둔화 등으로 우리 기업의 성장 잠재력이 약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전쟁과 국내 정치 상황 등으로 우리 시장은 주요국에 비해서 상당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정 이사장은 올해 밸류업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말까지 102개사, 시가총액 기준으로 41%의 기업들이 밸류업 공시에 참여했다”며 “올해는 더 많은 대표 기업들이 참여해 주주 가치 중심의 경영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밸류업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자본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겠다는 의지도 강조했다. 정 이사장은 “글로벌 거래소들의 주요 수입원인 데이터 인덱스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수수료 중심의 수익 구조를 다변화해 나가겠다”며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 등 신규 사업에 대한 해외 사례를 잘 벤치마킹해서 자본시장의 새로운 영역들을 모색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저한 시장 관리와 투자자 신뢰를 확보하겠다”고 했다. 그는 자본시장의 불공정 거래는 시장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요 요인”이라며 “공매도 중앙점검 시스템, 차세대 감시 시스템 등 시장 감시 인프라를 개선하고 부실 상장 기업에 대해서는 조속한 퇴출을 통해서 투자자들이 믿고 투자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끝으로 그는 “뱀은 예로부터 지혜로운 동물로 여겨졌다. 허물을 벗고 성장하는 모습이 기존의 틀을 벗어난 새로운 도약을 상징한다”며 “한국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도 없고 국회, 정부, 거래소 그리고 투자 업계가 함께 지혜를 모은다면 우리 자본시장이 보다 선진화된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원재연 기자
wonjaeyeon@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