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원 금융보안원 원장은 “보안으로 디지털 혁신을 견인하고 보안의 넥스트 레벌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23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창립 1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금융회사는 전통의 금융을 넘어서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 변모하고 있고 정책도 규정 중심에서 자율보안, 책임 체계로 변화하고 있다”며 “디지털금융 뉴노멀시대의 혁신의 중심이 되는 금융보안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금융보안원은 이를 위한 세부과제로 ▲AI 모델 보안성 평가·안전한 AI 활용 가이드 제공 ▲클라우드·AI를 활용한 혁신금융서비스 보안대책 평가 적기 수행 ▲가상자산사업자의 금융보안원 사원 가입 추진 및 금융회사 수준의 보안 서비스 제공 ▲자율 보안 수준 진단 및 자율 보안 규약 마련 등을 통한 금융회사의 자율보안 체계 전환 지원 등을 선정했다.
이외에도 오는 2027년까지 전 직원의 10%를 AI 전문가로 육성하고 근무형태 자율화, 사무 혁신 등을 통해 수평적이고 유연한 조직문화 및 성과 중심 체계를 정립하는 등 조직 내실화에도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 원장은 “금융보안원이 금융보안의 길잡이로서의 역할을 적극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보안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패널 토론 발제자로 나선 백연주 한국금융연구원 위원은 “디지털 금융 사기를 막기 위한 소비자 교육과 금융 접근성 유지를 위한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며 “일본의 경우 고령투자자를 위한 별도의 금융소비자 가이드라인이 있고 은행 대리업제도를 도입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모바일 올인원 환경 속에서 보안 위협 증대 및 보이스피싱, 파밍 등 디지털 금융사기의 급증이 이어지고 있다”며 “우리나라 역시 오프라인 은행 점포수 감소 등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 등이 시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백 연구원은 또 AI 활용시 발생하는 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올해 1월 AI 기본법이 제정됐다”며 “AI 기본법과 금융권 AI 가이드라인의 통합적 검토가 필요하다”며 “자원이 제약적인 금융회사들의 AI 모델 구축과 학습 데이터 확보를 보조할 필요도 있다”고 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권태경 연세대학교 교수가 진행을 맡았으며 패널 간 미래 디지털 금융환경 속에서의 보안 과제를 조망하고 안전한 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현안 사항을 공유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
- 연이은 금융사고… "이상거래 적발, AI 활용 성과"
- 금융보안원, 'AI'·'디지털자산' 분석 디지털금융 보고서 발간
- 금융보안원, 금융 보안 위험요소 모니터링 기술 개발 추진
- 금융보안원 “2027년 전 직원 10%이상 AI 전문가로 육성”
- “금융보안 강화?… 경영진 인식부터 바꿔라”
- 리플, 선물 ETF 승인에 급등… 기관 투자 기대감 반영
- 빗썸, '최저 수수료' 광고했지만… "추가 수수료 1400억 받아"
- 닥사, ‘2025 디지털자산 정책자료집’ 발간
- 두나무 재계 36위로… 빗썸도 첫 대기업 지정
- 5대 가상자산거래소, 금융보안원 가입… 보안 체제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