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최저 수수료'를 앞세워 이용자들을 끌어모았지만, 실제로는 광고보다 높은 수수료를 부과해 1000억원이 넘는 추가 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민의힘 김재섭 의원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2월부터 올해 2월까지 빗썸이 벌어들인 수수료 총액이 6727억 9000만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 기간 빗썸은 '국내 최저 수수료 0.04%'를 내세워 광고했지만, 실제 소비자에게 부과된 평균 수수료율은 0.051%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총 1409억 1000만원의 추가 수수료를 부담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 의원은 "소비자들이 광고에 명시된 최저 수수료율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쿠폰 등록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빗썸이 이를 명확히 안내하지 않았다”며 "소비자가 빗썸 사이트에 접속해 로그인하고 거래하는 과정에서 쿠폰 등록 필요성을 충분히 인지할 수 없도록 한 것은 표시광고법상 전형적인 '다크패턴'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령대별 수수료 부담 차이도 뚜렷했다. 김 의원이 빗썸의 수수료 실효율을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 이용자의 평균 실효 수수료율은 0.078%로 가장 높았고, 50대는 0.076%로 뒤를 이었다. 반면 20대 이하 평균 실효 수수료율은 0.044%로 50대 이상과 비교해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이 쿠폰 등록 절차를 인지하거나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피해가 더욱 심각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빗썸은 쿠폰 등록 필요성을 보다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안내해 소비자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며 "금융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는 이 같은 소비자 기만 행위가 반복되지 않도록 강력한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재연 기자
wonjaeyeon@chosunbiz.com
- "SKT 유심 해킹… 심 스와핑 공격 경계령" [SKT 유심 해킹]
- 업비트 "무신사 앱에서 비트코인 20억 쏩니다"
- ‘K-액센츄어 표방’ ISTN·INF 합병… 경영컨설팅부터 플랫폼 올인원 제공
- 한국핀테크지원센터, 핀테크 큐브 입주·멤버십 기업 선정
- 박상원 금융보안원장 “금융사, 이제는 디지털 플랫폼 기업”
- 빗썸 인적분할, "거래소·신사업 투트랙 성장 전략"
- 대진표 앞둔 대선… 여야 모두 '천만 코인 민심' 잡자 혈안
- 빗썸나눔, 장애인의 날 맞아 직업재활시설 봉사활동 진행
- 업비트, SKT 이용 회원 대상 계정 보안 강화 권고 [SKT 유심 해킹]
- 美 투자 큰 손 '스트래티지', 비트코인 2조원 빚투… 도박 통하나
- 비댁스, 갤럭시 디지털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디지털자산보호재단,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에 감사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