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는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한 161억원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가상자산 거래소 예치금 이용료율 상향으로 이자비용이 늘었고, 인공지능(AI) 투자 등도 확대한 영향이다.
고객수는 지속 증가했다. 케이뱅크는 1분기 90만명의 신규 고객을 유치해 전체 고객 수는 1363만명으로 1년 사이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말 수신 잔액은 27조8000억원, 여신 잔액은 16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15.9%, 14.8% 성장했다.
수신 잔액은 은행권 수신 금리 인하 및 자산 시장 위축에 투자 대기자금이 유입되며 파킹통장 플러스박스에 1분기에만 약 2조2000억원의 잔액이 늘었다.
여신 잔액은 아파트담보대출과 전세대출의 안정적인 성장과 개인사업자 대출 시장 공략 강화로 성장을 이어갔다.
이자이익은 1085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1357억원과 비교해 20% 감소했다. 가계 대출 규제로 증가폭이 제한된 가운데 수신 잔액이 늘며 이자 비용이 늘어서다. 가상자산이용자 보호법에 따라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의 원화 예치금 이용료율이 지난해 7월 연 0.1%에서 2.1%로 오른 탓이 가장 컸다.
케이뱅크의 올 1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41%를 기록했다.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14.39%였다.
비이자이익은 19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57억원과 비교해 25.5% 증가했다.
건전성 지표는 개선됐다. 1분기 말 연체율은 0.66%로 전년 동기 0.95%와 비교해 크게 감소했다. 이는 2022년 2분기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도 0.61%로 지난해 같은 기간(0.87%)과 비교해 개선됐다.
NPL커버리지 비율도 지난해 말 251.7%에서 올해 1분기 말 303.3%로 크게 개선돼 은행권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AI Powered bank’를 선언하며 올해도 AI 인프라 투자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케이뱅크는 올해 연간으로 지난해 약 3배 수준의 AI와 클라우드 투자를 단행할 예정이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
- 케이뱅크, 업계 최초 명의도용 피해시 전액보상
- 케이뱅크, 통신비·데이터 사용량으로 신용 평가하는 ‘이퀄’ 도입
- 케이뱅크 "KT와 협력, AI로 보이스피싱 잡는다"
- 케이뱅크, 비대면 사장님 부동산담보 대출 대환상품 출시
- IPO 3수 도전 케이뱅크, 시장 불안한데 서두르는 이유?
- 케이뱅크, 작년 당기순익 1281억원… 역대 최대
- 빗썸, 1분기 영업익 678억원 전년 대비 9% 증가
- 美 최대 거래소 코인베이스, 해킹 피해에 SEC 조사 나서
- [줌인IT] IPO 삼수생 케이뱅크에게 필요한 건
- 케이뱅크, 최저신용자도 대출… 인뱅, 중·저신용자 금융 확대
- 케이뱅크, 업비트와 실명계정 제휴 1년 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