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총액이 200조원을 넘어섰다. 2002년 국내에서 처음 도입한지 약 23년 만에 거둔 성과다.
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 국내 상장한 ETF 984개의 순자산총액은 201조2845억원으로 집계됐다. 직전 거래일인 2일(199조1531억원) 대비 2조1314억원 늘어난 규모다.
ETF는 지난달 중순 순자산 197조원을 넘어서며 조만간 200조원 돌파가 유력시 됐지만 한동안 190조원 후반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다 대선 다음 날인 4일 새 정부의 경기 및 증시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코스피가 연고점을 경신하면서 ETF도 순자산 200조원을 넘어섰다.
국내 ETF 시장은 2002년 10월 코스피200지수를 토대로 한 상품 4개 종목(순자산총액 3552억원)을 출시한 뒤 21년 만인 2023년 6월 순자산 100조원을 넘겼고 2년 만에 순자산총액이 두 배로 불어나며 200조원까지 달성했다.
ETF는 주식처럼 편하게 매매할 수 있으면서도 통상 개별 종목 주가가 아닌 주가지수를 따르는 '패시브' 성격이 강해 안정성 면에서 주식보다 유리하다. 운용보수 등 비용도 공모펀드보다 저렴해 2019년 코로나 이후 빠르게 '재태크 투자 상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상품 다변화에 따라 미국 우량주,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단기 채권, 고배당주 등 여러 자산 기반의 ETF가 매매되기 시작했다. 5일 기준 국내에 유통되는 ETF는 총 984종이다.
윤승준 기자
sjyoon@chosunbiz.com
- AI·신재생·지역화폐株 ‘정책 수혜’ 관련 ETF 훈풍 기대 [이재명 시대]
- “금리 인하부터 상품권 지급까지”… 증권사 고객 유치 전쟁 ‘후끈’
- MTS로 주식 거래만?… 증권사 모바일앱, 종합투자 플랫폼 진화 중
- 테마형 ETF로 ‘틈새 공략’ 나선 중위권 운용사… 미래·삼성 아성 도전
- 코스피 2900마저 뚫었다… 2022년 1월 이후 처음
- 10개월 만에 돌아온 ‘바이 코리아’… 외인 韓주식 2조원 순매수
- '李대통령 취임'에 ETF 지각변동… 미래에셋, 1위 삼성 정조준
- 새 정부 출범 증시 뛰는데… 손터는 개미들 왜?
- ETF 파죽지세에 존재감 잃은 공모펀드… ‘직상장’ 돌파구, 글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