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금융지주가 올해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순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충당금 이슈가 사라진 데다 주요 계열사인 은행 실적이 견고할 것이란 관측이다. 가계대출 규제가 수도권보다는 비교적 완화적이었던 것도 한몫했다.
1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방에 본사를 둔 BNK와 JB, iM금융 3사의 2분기 실적 컨센서스 순이익 합계는 5810억원 수준으로 집계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780억원보다 21.5% 증가한 수치다.
지난 1분기와 비교해도 성장세가 뚜렷하다. 올해 1분기 3대 금융지주의 당기순이익은 4837억원으로 iM금융을 제외한 BNK‧JB금융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뒷걸음질 친 바 있다.
JB금융의 2분기 추정 순이익은 2016억원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것으로 분기 순이익 최고 기록이다. 1분기 대비 총대출이 3% 중반으로 성장했고, 이자이익 증가와 일회성 비용 등이 사라진데 따른 것이다.
BNK금융과 iM금융은 각각 2445억원, 1349억원으로 같은 기간 0.7%, 25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BNK금융의 경우 지난 2월 화재가 발생한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시공사인 삼정기업 등에 대출금 2026억원을 내주면서 올 1분기 이와 관련 충당금 2719억원을 쌓았다.
iM금융은 지난해 2분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충당금 영향으로 당기순이익이 382억원에 그친바 있다. 이에 따른 기저효과가 일부 작용했다.
지방 금융지주의 자산건전성 관리는 과제다. BNK금융와 JB금융의 지난 1분기 연체율은 각각 1.12%와 1.52%로 전년 동기보다 0.22%포인트, 0.35%포인트씩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iM금융은 1.17%에서 1.71%로 크게 뛰었다.
부실채권 비율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NPL)비율도 높아졌다. BNK금융의 NPL비율은 1.69%로 전분기 대비 0.38%포인트 상승했고 JB금융은 1.19%로 1년 전과 비교해 0.19%포인트 올랐다. iM금융은 1.63%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2분기에도 연체율 상승과 고정이하여신 비율 상승 흐름이 이어졌을 것이란 관측이다.
하반기 성장세는 안갯속이다. 지방의 부동산 시장이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면서 연관 산업 경기는 갈수록 악화일로다. 가계대출 규제에서 지방은행이 서울·수도권 중심의 시중은행보다 여유로운 편이지만 풍선효과 차단을 위해 추가 규제 우려가 있어 대출을 무작정 늘릴 수 없는 상황이다. 기업대출로 눈을 돌리고 있지만 여신 건전성 문제 등으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은행권 관계자는 “지방은행 가운데 원화대출 성장률이 0%인 곳도 있다”며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행 등 소비진작과 지방 경기 부양을 위한 정책이 추진된다 하더라도 부동산 경기와 지역 경제가 쉽게 회복될지는 지켜봐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