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동차 업계가 이번 일본과의 관세 협상이 도리어 자국 제조사에 불리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포드의 루그 전기차 센터. / 포드
포드의 루그 전기차 센터. / 포드

블룸버그 통신은 24일(현지시각) 미국 자동차 업계 등에서 미일 관세협상 결과는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는 데 역부족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2일 일본과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미국은 당초 8월 1일부터 부과 예정이었던 상호관세 25%를 15%로 조정했다. 또 지난 4월부터 부과되던 자동차 관세 25%를 12.5%로 줄이고 기본 관세 2.5%를 더해 총 15%를 적용하기로 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관세 협상은 무역 균형을 찾고 국내 제조업을 활성화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일본에 유리한 쪽으로 협상이 이뤄졌다는 게 이유다.

특히 자동차 업계에서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일본 자동차 관세를 조정함으로써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 3대 자동차 제조사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현재 대일 무역 적자의 80%가량을 자동차 혹은 자동차 부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맷 블런트 자동차정책위원회(AAPC) 위원장은 “미국산 부품이 거의 적용되지 않는 일본차에 낮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미국 산업계와 자동차 노동자에게 나쁜 합의”라고 말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맷 블런트의 발언에 대해 “업계의 불만은 어리석다”며 “내가 이야기를 나눈 제조업 경영진은 이번 결정에 대해 괜찮다는 의견을 전했다”고 반박했다.

그는 “경쟁업체에 대한 관세가 25%에서 15%로 낮아지면 실망할 수 있지만 미국에서 생산하면 관세는 없다”고 강조했다.

러트릭 장관은 블룸버그 TV 인터뷰에서도 “이번 협상 결과가 한국과 유럽에 추가적인 양보를 하도록 압박하고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자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상당한 불이익을 감수해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존 투미 번영하는 미국을 위한 연대(CPA) 상임이사는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기존 관세보다 낮은 세율을 부과하는 것은 해당 법의 취지를 훼손하는 것뿐만 아니라 업체들의 해외 생산을 부추길 것이라고 비판했다.

허인학 기자

ih.he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