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연이은 중대재해에 대해 포스코이앤씨를 강하게 질타한 가운데 이 회사가 지난 4월 발생한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사고의 피해 보상에도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사고로 대피한 3가구는 아직까지 귀가하지 못한 채 보상 협의가 장기화되고 있다.
광명시 등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는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 사고로 대피 조치를 받은 주민 3가구와 현재까지도 보상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 가구는 사고 지점에서 불과 50여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해 지하 안전성 문제로 인해 대피 명령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다.
당초 붕괴 사고 직후 대피했던 21가구 중 18가구는 지난 6월 안전진단 이후 귀가하거나 이주를 완료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이주 가구에 대해 가구당 위자료 100만원과 함께 6월 22일까지 1인당 하루 10만원의 거주비를 지원했다. 이후의 지원은 협의를 통해 결정하겠다고 밝혔지만 피해 주민들은 보상안과 이주 대책에 대해 회사 측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피해 주민들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는 안전진단 업체 선정을 일방적으로 요구하면서 협상을 진전시키지 않고 있다. ‘추가 요구를 하지 않겠다’는 합의서에 서명한 주민에게만 지원금을 지급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주민들은 실무진이 형식적인 대응만 반복하고 있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광명시 또한 포스코이앤씨의 대응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시는 자료 제출 요구와 사고 관련 질의에 회사 측이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대책 마련이 지연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5월 주민들과 함께 국회를 찾아 포스코이앤씨의 신속한 피해 보상을 촉구했으며 6월에는 사고 현장 시행사인 넥스트레인이 진상 규명에 협조하지 않고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신안산선 붕괴사고 관련 태스크포스(TF)를 통해 3가구 주민들과 협의를 지속 중”이라며 “최대한 빨리 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판의 화살은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사장에게도 향하고 있다. 정 사장은 사고 발생 후 6일이 지나서야 사과문을 발표해 ‘늑장 대응’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사고 이후에도 피해 주민과 직접 만나지 않은 채 정비사업 수주를 위한 외부 활동에 집중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정 사장은 6월 용산 정비창 전면1구역 조합원을 만나 수주 활동을 벌였다.
정 사장은 또 7월 28일 함양~창녕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근로자 사망사고에 대해서도 대통령의 공개 질타가 있은 뒤인 다음 날에야 기자회견을 열고 뒤늦게 사과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당시 국무회의에서 “같은 방식으로 반복되는 사망 사고는 사실상 죽음을 용인하는 것”이라며 “법적으로는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이에 따라 전국 모든 공사 현장의 작업을 즉시 중단하고 전사적인 긴급 안전점검에 착수했다. 또 재해 예방을 위한 새로운 안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잠재 위험 요소에 대한 전면 재조사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포스코이앤씨 공사현장에서는 올해에만 총 4건의 중대재해가 발생해 4명의 근로자가 목숨을 잃었다. 1월 경남 김해 아파트 공사현장 추락사고를 시작으로, 4월 광명 신안산선 붕괴사고, 대구 주상복합 현장 추락사고, 그리고 7월 함양~창녕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천공기에 끼어 숨진 사고가 잇따랐다.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는 포스코이앤씨 본사와 전국 65개 공사 현장에 대해 산업안전보건감독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성은 기자
sele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