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인공지능(AI) 모델의 가중치를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픈 웨이트(open-weight) 모델을 공개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방형 AI 모델로 테크 업계에 충격을 주자 오픈 AI도 새로운 시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 뉴스1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 뉴스1

5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오픈AI는 이날 ‘GPT-oss-120b’, ‘GPT-oss-20b’ 총 2종의 오픈 웨이트 모델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2종의 모델은 비교적 소형이면서 효율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GPT-oss-120b는 80기가바이트(GB) 그래픽처리장치(GPU) 1개로 구동할 수 있다. GPT-oss-20b는 메모리 16GB가 탑재된 일반 노트북에서도 작동한다.

오픈 웨이트는 AI가 학습 과정에서 습득한 수치를 공개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이 맞춤형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완전한 오픈 소스는 아니다. 이에 따라 학습에 쓰인 데이터는 공개되지 않는다.

오픈AI는 개인과 기업, 정부기관이 각자에게 맞는 AI 시스템을 직접 튜닝(조정)하고 실행하는 데 이번에 공개한 모델들이 사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오픈AI의 오픈 모델 공개는 2019년 GPT-2 이후 처음이다. GPT-2는 초창기 챗GPT의 기반이 된 모델이다. 오픈AI는 대부분 모델에 폐쇄형 시스템을 적용했다.

오픈AI의 이번 오픈 웨이트 모델 공개는 딥시크의 영향을 받았다는 평가다. 딥시크는 올해 1월 AI 모델 ‘R1’을 출시하며 주목받자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오픈 웨이트 공개를 논의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성은 기자
sele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