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인공지능(AI) 산업의 과도한 경쟁을 방지하기로 했다. AI 관련 투자 경쟁이 과열되면서 자원이 낭비되는 상황을 막겠다는 것이다. 다만 AI를 핵심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기존 기조는 유지한다.
31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지역별 강점을 살린 AI 개발을 유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장카이린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첨단기술국 부국장은 “각 지역이 지리적 여건, 자원 조건, 산업 기반에 따라 과학적으로 개발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장려하겠다”며 “지역별 특색을 살리고 상호 보완적인 조화로운 개발 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무질서한 경쟁은 지양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발언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지방정부의 AI 과잉 투자를 경고한 데 이어 나왔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가 전기차 산업에서 겪은 공급 과잉 문제를 AI 산업에서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중국 전기차 업계는 정부 보조금과 투자 열풍 속에 빠르게 성장했지만, 공급 과잉으로 웨이마 등 일부 기업이 파산하거나 구조조정에 들어간 상황이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AI 산업 중 어느 분야의 투자가 과열됐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다만 장카이린 부국장은 AI 개발 과정에서 개방성과 자원 공유를 강조하며, 인재와 자본 등 핵심 자원을 정교하게 운용하겠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이 같은 발언을 두고 중국 정부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 AI 데이터센터 투자를 경계한 것으로 해석했다.
실제 중국 AI 반도체 기업 캉브리콘은 최근 한 달 사이 주가가 두 배 이상 급등한 뒤 급락해 투자 과열 우려를 낳은 바 있다. 중국 정부는 AI 투자 과열 경쟁을 제어함으로써 캉브리콘, 레노버, 화웨이 등 AI 관련 칩·네트워크·서버 부품 제조사가 받을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장카이린 부국장은 “민간기업의 유연한 조직 체계와 혁신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국유기업과 민영기업 간 협력을 강화하겠다”며 “기술 혁신 분야에서 더 많은 다크호스 기업이 등장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