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주요 게임사가 흥행작 개발자에게는 최고경영자(CEO)나 오너보다 더 많은 보수를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틀그라운드. /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 크래프톤

14일 각 사 반기보고서를 살펴본 결과 흥행 게임을 개발한 게임 디렉트들의 보수가 회사의 대표나 오너 보다 많았다. 

장태석 크래프톤 ‘PUBG: 배틀그라운드’ 지식재산권(IP) 총괄 프로듀서의 경우 상반기 급여는 4억3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상여금으로 53억원을 받아 총 57억3500만원을 수령해 게임업계에서 가장 높은 보수를 자랑했다. 이는 김창한 대표(39억원)와 배동근 최고재무책임자(CFO·35억원)보다 많은 액수다.

장 프로듀서는 지노게임즈 시절부터 김 대표와 호흡을 맞춘 핵심 인물이다. 현재 PUBG 시리즈 개발 전반을 총괄하고 있다. PUBG PC·콘솔 개발 조직의 김상균 본부장, 김태현 디렉터도 각각 28억원, 24억원을 받았다.

넥슨게임즈는 ‘퍼스트 디센던트’를 총괄한 이범준 PD에게 상반기 11억5000만원을 지급했다. 해당 작품은 지난해 7월 출시 후 PC 버전에서만 일일 최고 동시 접속자 26만5000명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박용현 대표의 보수는 약 7억원이었다.

넷마블은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를 지휘한 권영식 넷마블네오 대표에게 15억8500만원을 지급했다. 이는 방준혁 넷마블·코웨이 의장(12억6200만원)보다 많다.

네오위즈는 ‘P의 거짓’ DLC를 출시한 박성준 본부장(6억2800만원), 최지원 실장(5억8400만원)에게 김승철 공동대표(5억8500만원)에 버금가는 보수를 줬다. 시프트업에서는 ‘스텔라 블레이드’와 ‘승리의 여신: 니케’ 흥행을 이끈 민경립 최고전략책임자(CSO)가 26억5900만원을 받았다. ‘니케’의 장기 흥행을 이끈 유형석 디렉터도 5억3800만원을 수령했다.

엔씨소프트 김택진 대표의 보수는 최근 몇 년간 줄고 있다. 올해 상반기 수령액은 19억8000만원으로, 2020년 133억원의 15% 수준이다. 이후 2021년 94억4000만원, 2022년 57억7000만원, 2023년 26억4000만원, 2024년 22억9000만원으로 감소했다. 박병무 공동대표의 상반기 보수는 10억원이다.

천선우 기자 
swchu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