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폴더블폰’이 미국에서 인기를 끌면서 현지 시장 점유율이 확대됐다. 최근 미국 내 스마트폰 판매와 출하량 수치에서 애플과 삼성의 경쟁이 다시 치열해지는 분위기다.
16일(현지시각) CNBC가 리서치 조사기관인 캐널리스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미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1분기 23%에서 2분기 31%로 늘었다. 삼성전자의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경쟁사인 애플의 점유율은 같은 기간 56%에서 49%로 떨어졌다. 애플이 미국 시장 1위를 지키고 있지만 삼성과 격차는 33%포인트에서 18%포인트로 좁혀졌다.
삼성전자의 약진은 하드웨어(HW)를 크게 개선한 ‘갤럭시 S25’ 신제품과 Z폴드7·Z플립7이 높은 초기 판매량을 기록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까지 기술력을 앞세워 6차례 폴더블 시리즈를 내놓으면서 중국의 거센 추격에도 전세계 폴더블폰 시장 30~40%를 차지하고 있다.
루나 비요르홉드 캐널리스 애널리스트는 “폴더블폰은 삼성이 혁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면서 “경쟁사에 앞서기 위해 노력한다면 무언가 다르다는 인상을 주면서 후광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반기 미국 내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시장 관심도는 더 높아질 전망이다. 갤럭시Z 폴드7은 화면 크기가 전작인 7.6인치에서 8인치로 커졌고, Z폴드7의 경우 25% 얇아지면서 무게가 10% 줄기도 했다.
유튜브 등 SNS에서도 갤럭시Z 폴드7을 20만 번 연속으로 접는 라이브 방송 영상이 누적 1500만뷰를 달성하며 입소문을 타고 있다. 실제 미국에서 갤럭시 Z7 시리즈의 사전예약 대수는 지난달 전작 대비 25% 늘었고 미국 이동통신사만 놓고 볼 때는 60%나 급증했다.
애플이 내년에 첫 폴더블폰을 선보이면 삼성과 애플간 점유율 경쟁은 격화될 전망이지만 시장 선점 효과는 삼성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새믹 채터지 JP모건체이스 애널리스트는 “투자자들은 이미 애플이 내년 9월 아이폰18 시리즈 일환으로 첫 폴더블폰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며 “애플은 그동안 기술이 주류가 될 때까지 지켜보는 전략을 취해왔다”고 분석했다.
변상이 기자
differenc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