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책임관(CAIO)협의회가 공식 출범했다. 인공지능책임관협의회는 국가 AI대전환과 AI 3대 강국(G3) 달성을 책임질 정부 측 회의체다. 부처 간 AI·데이터 규제 관련 이슈 공유 및 논의, 효과적인 AI 사업 기획, 예산 편성 및 관리 지원, 부처 협업 또는 범부처 AI 사업 발굴 등 역할을 맡았다.
18일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위원장 이재명 대통령)는 서울 스퀘어에서 인공지능책임관협의회가 출범하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부위원장과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8개 분과위원회 분과장 등이 참석했다.
인공지능책임관협의회 의장 겸 국가 인공지능책임관은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이 맡았다.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는 우선 48개 부·처·청·위원회를 대상으로 인공지능책임관을 지정했다. 18일 진행된 제1차 인공지능책임관협의회 회의는 장관급 기관 25개 부처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향후 각 부처 인공지능책임관은 부처별 AI전략 수립과 이행 점검, 부처 내 AI 활용과 데이터 개방·연계 등 데이터 기반 행정 업무(데이터 기반 행정책임관, CDO 역할)를 포함한 소관 조직의 AI 관련 모든 업무의 최종 책임자가 되며 국가인공지능책임관은 전부처 인공지능책임관을 아우르는 총괄 책임자가 된다.
인공지능책임관협의회는 대한민국 AI액션플랜 등 위원회가 수립·결정하는 국가 AI 정책과 각 부처 AI 정책·사업 연계성 강화 역할을 수행한다. 인공지능책임관협의회에서 논의된 모든 결과는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에 보고된다.
인공지능책임관협의회는 매달 1회 개최를 원칙으로 운영되며 논의 주제에 따라 유관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분과위원도 참석할 예정이다.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은 “국가AI전략을 수립할 국가AI전략위원회, 위원회의 분야별 정책 수립과 심의를 전문적으로 지원할 분과위원회에 이어 부처 간 협업과 범정부 차원 정책 집행을 담보할 인공지능책임관 협의회가 드디어 출범했다”며 “위원회 간사이자 협의회 의장으로서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데 필요한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