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피해365센터’를 사칭한 계정이 금전 사기를 시도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틱촉 사칭 수법 이미지.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틱촉 사칭 수법 이미지.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는 최근 틱톡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온라인피해365센터’를 사칭한 계정을 앞세워 개인정보와 금전을 요구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들은 틱톡 등 SNS에 피해 상담 광고를 게시하고 이용자를 유인한다. 고객이 상담을 신청하면 365센터 소속 변호사라며 특정인의 연락처를 안내한다. 피해자가 해당 인물과 메신저 상담을 시작하면 국가안보센터 또는 국가보안기술센터와 연계해 준다며 거액의 송금을 요구한다.

365센터는 온라인상 각종 피해에 대한 상담을 제공하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금전을 요구하지 않는다. 상담원이 아닌 변호사가 직접 상담하거나 일대일 메신저로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일도 없다고 밝혔다.

SNS에서 사칭 의심 광고를 발견하면 즉시 해당 계정을 플랫폼 고객센터에 신고하고, 사칭 계정을 통해 상담 메시지를 주고받지 말아야 한다. 365센터는 예방책으로 △사칭 의심 계정 발견 시 즉시 신고 △공식 SNS 계정 및 상담 채널 확인 △금전 피해 발생 시 경찰 신고와 함께 명의 도용·대출·휴대전화 개통 여부 확인 등의 보호 조치를 안내했다.

올해 9월 한 달 동안 365센터에 접수된 사칭 상담 건수는 17건이며, 일부 이용자는 실제 금전을 송금한 뒤 경찰에 피해 사실을 신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센터는 피해자가 변호사 소속 여부를 문의하는 과정에서 금전 피해를 확인했고, 즉시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