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LG전자가 2026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6‘을 앞두고 각각 27개와 18개의 ‘CES 혁신상’을 수상했다.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는 5일(현지시각) CES 혁신상 수상 제품과 기술을 발표했다. CTA는 매년 CES 개막에 앞서 가장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선정해 CES 혁신상을 수여한다.
삼성전자는 영상디스플레이 12개, 생활가전 4개, 모바일 3개, 반도체 7개, 하만 1개 등 총 27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영상디스플레이 부문에서는 업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제품이나 기술에 수여하는 최고 혁신상 2개를 수상했다. 2026년형 TV, 모니터 등 신제품과 서비스로 10개의 혁신상을 수상했다
생활가전 부문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냉장고 오토 오픈 도어’ 기능을 비롯해, 2026년형 가전 신제품과 기술로 4개의 CES 혁신상을 받았다. 모바일 부문에서는 갤럭시 XR, 갤럭시 Z폴드7, 갤럭시 워치8로 3개의 혁신상을 수상했다.
반도체 부문에서는 양자보안 칩 S3SSE2A이 사이버보안 분야에서는 최고혁신상을 임베디드 기술 분야에서도 혁신상을 수상하며 2개 분야에서 상을 받았다. 또 LPDDR6, PM9E1, Detachable AutoSSD (탈부착 가능한 차량용 SSD), ISOCELL HP5, T7 Resurrected로 혁신상을 수상했다. 하만의 JBL 투어 원 M3 Smart Tx 노이즈캔슬링 오버이어 헤드폰도 혁신상을 수상했다.
LG전자는 최고 혁신상 2개를 포함해 총 18개의 CES 혁신상을 받았다. LG 올레드 TV와 모니터는 화질, 게이밍, 컴퓨터 하드웨어 부문에서 최고 혁신상을 포함해 총 5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세계 최초의 투명·무선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가 최고 혁신상을 받으며 LG 올레드 TV는 4년 연속 최고 혁신상 수상 기록을 세웠다.
LG전자 독자 스마트 TV 플랫폼 ‘웹OS’는 2년 연속으로 사이버보안(Cybersecurity) 부문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인공지능 부문에서도 혁신상을 받으며 2관왕에 올랐다.
이 밖에 ▲마이크로 RGB 기술을 적용한 프리미엄 LCD TV ▲이동식 스크린 ‘LG 스탠바이미 2’ ▲세계 최초 6K(6144×3456) 해상도 전문가용 모니터 ‘LG 울트라파인 에보 6K’ 등이 혁신상을 받았다.
LG전자의 연결 자회사인 LG이노텍도 새롭게 개발한 차량용 ‘초슬림 픽셀 라이팅 모듈’로 CES 혁신상을 받았다. CES 2026에서 처음 선보일 ‘초슬림 픽셀 라이팅 모듈’은 두께·크기·무게 모두 획기적으로 줄어든 것이 특징이다.
LG이노텍은 2027년 하반기 ‘초슬림 픽셀 라이팅 모듈’ 첫 양산을 목표로 글로벌 고객사 대상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