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그룹이 앞으로 5년간 생산전 금융 전환에 110조원을 투입한다.
신한금융그룹은 오는 2030년까지 110조원 규모의 생산적·포용적 금융을 공급하고 자금중개와 위험분담, 성장지원 등 금융의 기능을 강화하는 ‘신한 K-성장, K-금융!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국가 핵심 산업의 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해 생산적 금융에 93조~98조원을 단계적으로 공급하기로 했다. 경제상황과 산업구조 변화 등을 감안해 예산을 탄력적으로 운용한다는 방침이다.
국민성장펀드에는 10조원을 투입하고 신한은행을 중심으로 주요 그룹사가 AI·반도체 등 첨단전략산업을 비롯해 기후·에너지·인프라·K-붐업 산업을 집중 지원한다.
이와 별개로 그룹 자체적으로 10조~15조원의 투자자금을 조성해 초혁신경제 15대 프로젝트 영역을 포함한 추가 투자를 단행하기로 했따.
특히 신한은행을 중심으로 조직된 ‘초혁신경제 성장지원 추진단’을 통해 부동산을 제외한 일반 중소·중견기업에 72조~75조원 규모의 그룹 자체 대출을 공급하기로 했다.
또 신한금융은 이번 프로젝트 시작으로 반도체·에너지·지역인프라 등 국가 전략산업의 핵심 기반과 신산업 분야에 대규모 파이낸싱을 시작했다.
첨단산업 기반시설에 5조원 규모의 금융주선과 지역 균형발전에 5조원 규모의 CTX 사업을 병행한다. 데이터센터·신재생에너지 개발펀드 등에 13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연말까지 3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추가로 조성한다.
아울러 서민·소상공인·자영업자 등 민생경제 회복을 지원하고 금융취약계층 신용회복 및 재기지원 활성화를 위해 12~17조원 규모의 포용적 금융을 병행한다.
앞서 지난 9월 신설한 ‘생산적 금융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를 통해 ▲분과별 추진 과제 및 목표 설정 ▲유망산업 및 혁신기업 발굴 위한 전략 구체화 ▲자본 영향도 분석 및 자본 관리 방안 마련 ▲자회사별 의사결정기구(이사회 등) 통한 실행력 제고 ▲프로젝트 추진 성과 모니터링 등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되며 격월 단위로 개최해 이행 수준을 점검해 나갈 예정이다.
신한금융은 이 같은 계획을 이달 초 이사회에서도 보고·논의했으며, 이달 말까지 생산적 금융 전략과 목표를 반영한 내년도 자회사별 경영계획을 확정하고, 12월에는 이를 그룹 최종 경영계획으로 통합해 이사회 안건으로 상정할 예정이다.
신한금융은 “견조한 재무 구조와 정교한 리스크 관리 체계를 기반으로, 주주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금융의 안정성과 신뢰를 강화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며 “세밀한 자본 관리를 통해 건전성과 성장의 균형을 유지하고, 산업과 민생 전반에 자금이 안정적으로 순환되도록 관리함으로써 중장기적 관점에서 금융의 본질적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