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생산적 금융 73조원, 포용 금융 7조원 등 앞으로 5년간 생산적 금융에 80조원을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임종룡 회장은 29일 오전 서울 중구 우리금융 본관에서 열린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 CEO 합동 브리핑’에서 “우리금융은 시대적 요구와 정책적 방향에 깊이 공감하고 있으며, 성장 잠재력과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에서 앞장서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임 회장은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금융회사들은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갖추는 데 집중해왔고 우리 역시 개인금융에 치중해온 것이 사실”이라며 “이자 장사라는 비판은 곧 주택담보대출에 치중한 한계에 대한 지적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비판을 겸허히 수용하고 기업과 사회를 든든히 뒷받침하며 한 단계 도약하는 전환점으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증권·보험사를 더해 명실상부한 종합금융그룹이 된 지금이야말로 우리금융이 가진 ‘기업금융 명가’의 정체성을 본격적으로 발휘해야 할 때”라고 했다.
이날 현장에는 정진완 은행장을 비롯해 남기천 우리증권 대표, 곽희필 ABL 대표, 이석태 우리저축은행 대표, 최승재 우리자산운용 대표, 김창규 벤처파트너스 대표, 강신국 우리PE 대표 등 자회사 CEO가 참석해 그룹 의지를 다졌다.
생산금융 추진을 위한 AI 대전환도
우리금융그룹은 향후 5년간 80조원을 투입한다. 구체적으로 80조원 가운데 생산적 금융 73조원, 포용 금융 7조원으로 나뉜다. 생산적 금융은 국민성장펀드 10조원, 그룹 자체투자 7조원, 융자 56조원으로 구성됐다.
정부가 추진하는 국민성장펀드에 민간 최초로 10조원을 출자하기로 하면서 경제 회복을 위한 민관 협력에 적극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지속가능한 생산적 금융 지원과 포용 금융 실천을 위해 AI(인공지능) 기반의 경영시스템 대전환도 함께 추진한다.
이 가운데 자체투자는 공동펀드 1조원, 모험자본 1조원, 자산운용사 생산적 금융 펀드 5조원으로 조성된다.
첨단전략산업 생태계 전반을 지원하는 융자는 ▲K-Tech 프로그램 19조원 ▲지역 첨단기업 육성 16조원 ▲혁신 벤처기업 11조원 ▲국가 주력산업 수출기업 7조원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3조원 등으로 나뉜다.
우리금융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대출 비중을 현재 50%에서 60%로 확대하고, 포용금융 규모도 약 40% 늘려 사회적 책임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임 회장은 기업금융 확대가 밸류업(주주환원)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일축했다. 그는 “이번 프로젝트를 준비하며 재무안정성 시뮬레이션을 지속해 왔다”며 “연말 그룹 보통주자본비율(CET1) 12.5% 달성과 배당 확대 등 밸류업 계획은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주택담보·임대사업자 대출 등을 첨단산업 대출로 전환해 자산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금융당국이 추진하는 위험가중치(RW) 조정분을 생산적 금융에 우선 반영해 자본 건전성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연말 그룹 보통주자본비율(CET1) 12.5% 달성도 목표로 제시했다.
포용금융에는 총 7조원이 투입된다. 저신용·취약계층 대상 대출 금리 인하, 소상공인 금융 지원, 배드뱅크 지원 등이 포함됐다. 우리금융은 5년간 총 55만명을 지원하고, 소상공인지원센터를 현재 6개에서 11개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우리금융은 생산적 금융을 뒷받침하기 위해 AI 기반 경영시스템 전환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기업여신 전 과정(서류 등록, 심사, 사후관리 등)에 AI 에이전트를 도입해 업무 효율을 높이고, RM(기업금융 전문가)에게는 영업·상품 정보를 통합 분석해 제공한다. 그룹 전체 190개 업무 중 생산적 금융 관련 50여 개에 AI를 우선 적용할 방침이다.
임 회장은 “126년 동안 한국 경제와 함께해온 우리금융이 사명감을 갖고 속도감 있게 프로젝트를 추진해 경제 회복과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
- 우리은행, AI 전문가가 추천하는 종합자산관리 서비스 선봬
- ‘역대급 실적’ 5대 금융지주… 은행 의존 더 커져
- 우리금융, 또 역성장… 상반기 순익 전년比 11.5% 감소
- 임종룡, 생산적 금융·AI 대전환 선언… 연임 앞둔 ‘새판짜기’ 승부수
- 연임 위해 뛰는 금융지주 회장님… 새 정부 정책 기조 '열공'
- 금융지주, ‘생산적금융 전환’ 속도전… 전담조직·투자 계획 잇따라
- 4대 금융, 3분기 실적도 순항… 대출 조였더니 예대마진 늘어
- 우리은행, AI 유망기업에 2300억원 규모 금융 지원
- 포스트 임종룡 누구?… 우리금융, 차기 회장 선출 절차 내달 착수
- [Leaders] 포스트 임종룡 누구?… 우리금융, 차기 회장 선출 절차 내달 착수
- 금융위 “무늬만 생산적 금융 안돼”… 全 금융권 추진 계획 공유
- 우리금융, 임추위 개시… 차기 회장 선임 절차 돌입
- 우리금융, 3분기 누적 순익 2.8조… 역대 최대
- 신한금융, 2030년까지 ‘생산적 금융’에 110조 투입
- 금융지주, 생산적 금융에 553조 투입… 실효성 의문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