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미국 정부에 반도체 세액공제 혜택을 인공지능(AI) 산업 전반으로 확대해달라고 요청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 / 뉴스1
샘 올트먼 오픈AI CEO. / 뉴스1

7일(현지시각) 오픈AI가 자사 홈페이지에 공개한 서한을 살펴보면 회사는 지난 10월 27일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에 서한을 보내 반도체법(칩스법·CHIPS Act) 상 세액공제 대상을 반도체 제조뿐 아니라 AI 인프라 전반으로 넓혀달라고 요구했다.

오픈AI는 서한에서 “세액공제 확대는 자본 비용을 낮추고 초기 투자 위험을 완화해 민간 자본을 유치하며, 미국 내 AI 구축을 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가 제안한 지원 대상에는 AI 데이터센터, AI 서버 제조, 변압기와 특수강 등 전력망 구성품 등이 포함됐다.

2022년 제정된 칩스법은 미국 내 반도체 제조시설 투자 기업에 25%의 세액공제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올해 7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에 따라 공제 폭이 35%로 확대됐다.

오픈AI는 최근 논란이 된 정부 보증 문제와 관련해 “오픈AI 자체에 대한 보증이 아니라 미국 내 제조업체를 지원하기 위한 보조금, 비용 분담 협정, 대출 및 대출 보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 같은 재정 지원은 구리·알루미늄·전기강판·희토류·반도체 원자재 등 핵심 소재에서 중국의 시장 왜곡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정부의 직접 자금 지원이 변압기 등 주요 전력망 부품의 생산 기간을 단축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서한은 크리스 리헤인 오픈AI 최고대외협력책임자(CGAO) 명의로 발송됐으며, 수신인은 마이클 크라치오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이다.

이번 서한은 오픈AI가 세계적 인기를 얻고 있음에도 여전히 수익을 내지 못하는 가운데, 막대한 AI 인프라 투자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연방정부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요청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앞서 새러 프라이어 오픈AI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한 콘퍼런스에서 “정부의 AI 칩 조달 비용 보증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언급했다가 비판을 받았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AI 정책을 총괄하는 데이비드 색스 백악관 과학기술자문위원장은 “AI 산업에 대한 연방정부의 구제금융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프라이어 CFO는 이후 발언을 철회했으며,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오픈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정부 보증을 보유하고 있지도, 원하지도 않는다”고 해명했다.

이성은 기자

sele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