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사회적가치를 중심에 둔 ‘새로운 자본주의’ 구상을 다시 꺼냈다.

최태원 SK회장이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개최된 ‘도쿄포럼2025’에서 개회사를 진행하고 있다. / SK그룹
최태원 SK회장이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개최된 ‘도쿄포럼2025’에서 개회사를 진행하고 있다. / SK그룹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은 21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에서 “현재 자본주의 사회는 환경 문제와 사회 양극화 등 복합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문제를 해결해 얻는 사회적가치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새로운 자본주의 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이틀간 열리는 이번 포럼에서 자본주의 심화로 나타난 다양한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가치 측정과 관리의 중요성을 짚었다. 도쿄포럼은 최종현학술원과 일본 도쿄대가 2019년부터 공동 개최해 온 국제 포럼이다. 올해 포럼은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하다: 다양성, 모순,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세계 각국 전문가들이 토론을 진행한다.

최태원 회장은 “기존 자본주의는 재무적 가치에만 집중해 사회적가치에 대한 보상이나 인센티브가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사회적가치를 “경제적 이윤을 넘어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이해관계자의 행복을 높이는 것이다”라고 정의했다.

최 회장은 “사회적가치는 측정이 쉽지 않아 자원의 최적 배분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사회적가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거래 비용이 필요했고 데이터도 부족했지만, 이제는 디지털 기술과 AI가 있어 이러한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회적가치의 체계적 측정과 평가가 가능해지면 자원 배분 방식과 행동 인센티브가 달라질 것”이라며 “이 변화가 ‘새로운 자본주의’의 기반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본주의가 재무적 가치뿐 아니라 사회적가치를 함께 반영하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더 나은 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SK가 계열사 단위로 적용하고 있는 ‘사회적가치 측정’ 사례도 소개했다. 그는 “SK는 일자리 창출, 납세, 환경 영향, 지역사회 기여 등 여러 항목을 플러스와 마이너스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측정이 시작되면 기업의 의사결정 방식이 달라진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기업의 핵심성과지표(KPI)는 재무적 가치 창출에 머물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은 최소한 사회적가치를 훼손하지 않아야 하고 매년 이를 높여야 한다”며 “이 변화가 자원 배분 기준을 바꾸고 재무 성과 중심의 의사결정에서 사회적가치를 함께 고려하는 방식으로 전환을 이끈다”고 설명했다.

이선율 기자
melody@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