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규제당국이 가상자산 현물 ETF(상장지수펀드) 허용에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진단이 제기됐다.

23일(현지시각)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에 따르면 일본 규제당국이 가상자산 도입을 위한 세금 완화 및 규제완화에 회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키 시오자와 미쓰이 스미모토 신탁은행 투자 디렉터는일본 재무성은 가상자산에 대해 전반적으로 회의적”이라며 “대형 자산운용사, 보험사,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가상자산을 이해하는 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일본은 지난 2013년 가상자산 거래소 마운트곡스(Mt.gox)의 고객 자산 분실 사태등을 겪었으며, 이후 가상자산 시장에 다소 보수적인 정책을 취해왔다. 

올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를 출시한 이후 일본 내에서는 디지털자산 기반 ETF출시를 허용해달라는 목소리가 높아졌지만, 이 같은 기조가 바뀌기는 여전히 쉽지 않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시오자와는 “일본 금융청(FSA)는 기본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이라며 “현재 법률상으로는 ETF를 포함한 투자신탁에 가상자산을 포함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며, 이러한 기조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가상자산이 자국민 자산 형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이 필요할 것” 이라고 말했다.

원재연 기자 wonjaeyeon@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