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7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 전시장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이 한 단계 성숙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유 대표는 이날 CES 2025 개막 후 SK하이닉스 등 SK 관계사와 공동으로 꾸린 전시 부스를 둘러본 뒤 기자들과 만나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기조연설을 언급하며 "지난해 AI 기술이 처음 나와 관심이 많았다면 이제는 생활 또는 산업 속에서 특화된 AI 용례가 많이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미 시장을 대상으로 올해 출시한 SK텔레콤의 AI 개인 비서 서비스 에스터에 대해 "AI 어시스턴트가 에이전트, 이후 아바타라는 콘센트까지 갈 것 같다"며 "글로벌 무대에서 에이전트 서비스가 어떻게 작용할지 테스트하는 차원이며 본격적으로 들어가 봐야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유 대표는 SK 전시관에 이어 삼성전자, 파나소닉 전시관을 방문했다. 유 대표를 맞이한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부회장)은 "시간이 되면 일반적인 전시 외에도 프라이빗 부스까지 둘러보시기를 권한다"고 말했다.
유 대표는 "삼성전자 전시 내용 중에 스마트싱스 부분이 인상적이이었다"며 "당연한 수순이지만 굉장히 전략적으로 잘 가고 있다. 그런 것들이 가전에 굉장히 많이 통할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KT, LG유플러스와 비교해 SK텔레콤의 AI 관련 차별점에 대해 "저희는 좀 더 빨리 AI를 시작한 만큼 글로벌 파트너도 많고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에 대해서 초기부터 생각을 하고 준비를 하고 있는 부분이 좀 다른 점이다"며 "SK하이닉스, SKC 등 SK 그룹사와 같이 AI 데이터 솔루션을 가지고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겠다는 점이 다른 통신사와의 차이점이다"고 말했다.
라스베이거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