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이 “갤럭시Z폴드7과 갤럭시Z플립7은 삼성전자 (폴더블) 혁신의 정점을 보여주는 제품”이라며 차세대 폼팩터의 기술·철학적 의미를 강조했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이 9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Duggal Greenhouse)’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 행사에서 발표하는 모습 / 삼성전자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이 9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Duggal Greenhouse)’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 행사에서 발표하는 모습 / 삼성전자

노 사장은 9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Duggal Greenhouse)’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 행사에서 폴더블 신제품에 AI 기술을 결합한 전략을 소개했다.

그는 “폴드7과 플립7은 단순한 새로운 폴더블이 아니라, 완전히 다른 차원의 경험을 제공하는 폼팩터”라며 “가장 강력하고 변화를 이끄는 하드웨어, 세계를 ‘행동’으로 번역하는 AI, 사용자를 이해하고 반응하는 카메라를 갖춘 제품”이라고 밝혔다.

노 사장은 이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가 서로 자극하고 도전할 때 비로소 진짜 혁신이 이뤄진다”며 “삼성전자는 사람 중심의 혁신을 바탕으로 의미 있고 접근 가능한 AI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갤럭시Z7 시리즈에는 AI 기능을 온전히 활용할 수 있는 대화면 설계와 멀티모달 기반의 ‘갤럭시 AI’, 그리고 구글 ‘제미나이’와의 통합 기능이 탑재됐다. 노 사장은 “AI와 결합한 모바일 기술은 새로운 기회의 문을 연다”며 “지금 울트라 경험이 펼쳐지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제품군에 업사이클링된 소재도 확대 적용했다. 노 사장은 “총 9가지 재활용 소재가 사용된 이번 제품은 첨단 기술이 긍정적 영향을 창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라고 설명했다.

그는 “갤럭시Z7은 스마트폰 경험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릴 제품이며, ‘무엇이 가능한가’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며 발표를 마무리했다.

폴드7은 역대 갤럭시Z폴드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모델로, 접었을 때 두께는 8.9㎜, 펼쳤을 때는 4.2㎜에 불과하다. 전작 폴드6의 12.1㎜/5.6㎜ 대비 얇아졌다. 무게도 239g에서 215g으로 24g 더 가벼워졌다.

화면도 더 커졌다. 커버 디스플레이는 6.3인치에서 6.5인치, 메인 디스플레이는 7.6인치에서 8.0인치로 확장됐다. 이는 갤럭시 스마트폰 중 가장 넓은 화면으로, 전작 대비 약 11% 커진 수치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퀄컴의 ‘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가 탑재됐다. 전작 대비 NPU 성능은 41%, CPU 38%, GPU 26% 향상됐다. 배터리는 전작과 동일한 4400mAh이다. 출고가는 256GB 모델이 237만9300원, 512GB 모델은 253만7700원으로 전작 대비 14만9600원씩 인상됐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