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당국의 단속으로 구금됐던 한국인 300여명 가운데 LG전자 소속 직원도 포함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대화 LG전자 생산기술원장은 “적합한 비자 요건과 절차를 전면 재검토 중이며, 연구원들의 빠른 복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대화 LG전자 생산기술원장 겸 사장(왼쪽)과 송시용 스마트팩토리사업담당 상무가 2024년 7월 18일 경기도 평택 디지털파크에서 LG전자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을 설명하고 있다. / LG전자
정대화 LG전자 생산기술원장 겸 사장(왼쪽)과 송시용 스마트팩토리사업담당 상무가 2024년 7월 18일 경기도 평택 디지털파크에서 LG전자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을 설명하고 있다. / LG전자

11일 LG전자에 따르면 정 원장은 사내 공지를 통해 “LG전자 생산기술원 소속 직원 5명과 협력사 직원 22명 등 총 27명이 구금됐다”며 “이들의 신속한 석방과 안전 확보를 위해 주미 대사관, 애틀랜타 총영사관, 본사 법무팀 등과 함께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은 지난 4일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HL-GA)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 475명을 단속해 체포했다. 이 가운데 약 300명은 한국인으로 LG에너지솔루션 소속 직원 47명과 협력사 직원 250여명으로 나타났다. 또 LG전자 직원 5명과 협력사 직원 22명도 포함됐다. 

LG생산기술원은 LG전자 내 생산 자동화와 장비 관리를 담당하는 핵심 조직이다. 이번에 구금된 직원들은 배터리 공장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된 인력이다.

LG전자는 이번 사태 이후 회의, 거래선 미팅 및 협의, 단기 교육·훈련, 세미나 참석, 계약 체결 등 단기 비즈니스 목적을 제외한 ESTA 출장을 전면 금지했다. 또 미국 내 생산법인 출장 시 반드시 단기 상용 비자(B-1)를 발급받도록 조치했다.

정 원장은 “출정 업무는 전자여행허가(ESTA) 또는 단기 상용 비자(B-1) 범위 내에서 진행됐다”며 “기술 지도와 공정 튜닝 등 전문 기술 업무를 수행한 것으로 불법 취업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는 귀환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있어 법적 다툼보다 석방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LG전자는 구금 사태 이후 동일한 지침을 재차 공지했다. 회의, 거래선 미팅 및 협의, 단기 교육·훈련, 세미나 참석, 계약 체결 등 단기 비즈니스 목적을 제외하고 ESTA 출장을 전면 금지하며, 미국 내 생산법인 출장 시 반드시 단기 상용 비자(B-1)를 발급받도록 조치했다.

이선율 기자
melody@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