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카드론 금리가 내려가는 추세다. 시장금리 하락에 금융당국 규제가 겹친 탓이다. 하지만 카드론이 필요한 실수요자가 이에 따른 혜택을 받기가 호락하지는 않을거란 진단이다.   

금융당국 카드론 규제에 따라 수요 위축이 불가피해자 카드사들이 우대금리를 대폭 확대하는 추세다 / DALL-E
금융당국 카드론 규제에 따라 수요 위축이 불가피해자 카드사들이 우대금리를 대폭 확대하는 추세다 / DALL-E

26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7개 전업카드사의 카드론 평균 금리는 14.05%로 연초 14.65%보다 0.5%포인트 낮아졌다. 

여기에는 최근 저금리 기조에 따른 조달비용 부담 완화와 더불어 카드사들의 조정금리(우대금리+특판금리 할인 등) 확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조정금리가 커지면 그 만큼 대출금리를 낮출 수 있다. 

실제 연초 0.60% 수준이던 카드사들의 평균 조정금리는 지난달 1.56%로 1%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회사별로 보면 ▲삼성카드 1.78→3.01% ▲신한카드 0.85→2.22% ▲우리카드 0.51→1.90% ▲롯데카드 0.03→1.65% ▲국민카드 0.77→1.34% ▲하나카드 0.51→1.34% ▲현대카드 0.35→1.09% 순으로 모두 할인 폭을 넓혔다. 

이는 지난 7월부터 카드론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대상에 포함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카드대출은 DSR 적용에서 빠져 있었지만 올해 7월부터 신용대출 범위에 카드론까지 포함됐다. 카드사 수익의 30% 안팎을 차지했던 카드론이 규제대상에 포함되면서 수요 위축이 불가피해졌다. 이자 경쟁을 통해 개별사 수요 위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이라는 평가다.

DSR 도입으로 자연스레 카드사들이 우량 차주 중심으로 영업을 이어간 점도 금리 하락 원인으로 꼽힌다. 카드사들이 저신용자보다 연체 가능성이 낮은 안전한 차주 위주로 대출을 취급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평균 금리가 낮아졌다는 분석이다.

다행히 자금조달 환경이 바뀌면서 카드사 대출 영업에 힘을 보탰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집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준 AA+ 등급 3년물 여전채 금리는 연 2.79%로 올해 초 3.08%보다 낮아졌다. 지난해 4%대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떨어진 수준이다.

여신금융 관계자는 “규제 도입으로 고객이 줄어드는 걸 막기 위해 카드사들이 우대금리를 일부 확대한 영향이 있는 걸로 보인다”며 “최근 조달금리 비용 부담 완화와 당국 대출금리 인하 압박에 따른 영향도 반영된 효과”라고 말했다.

하지만 카드사 대출 고객 중 금리하락 영향을 받은 사람은 줄어들고 있다. 카드론 잔액은 지난 2월 42조9888억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치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후 규제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잔액은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 8월 말 기준 NH농협카드와 BC카드를 포함한 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은 42조4483억원으로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은 이달 초 “서민 대출 금리가 15%대에 달하는 것은 과도하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면서 카드사들의 셈법도 복잡해 졌다. 대통령이 중저신용자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낸 셈인데, 카드사를 향한 추가 압박이 거세지지 않겠냐는 전망이 나온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카드론 금리 인하가 반가운 소식이지만 실제 체감으로 이어지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존 카드론 이용자 중 상당수가 중저신용자나 다중채무자인데 이들은 DSR 규제 한도에 막혀 대출 접근성이 낮아졌다. 금리가 낮아져도 정작 혜택을 볼 수 있는 대상은 제한적이어서다.

업계는 카드론 시장이 당분간 조정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본다. 규제 강화와 정부 압박 속에서 우대금리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하지만 과거 카드사들이 카드론 취급을 무리하게 늘려왔던 측면도 있던 만큼 추가 연체가 발생할 경우 카드사 리스크 부담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대현 기자
jdh@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