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손상된 정부 핵심 정보시스템 96개의 완전 복구까지 최대 2주가량 소요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당장 다음 주부터 우체국 우편·금융을 포함한 정부 온라인 서비스 이용에 차질이 예상된다.

26일 오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불이 나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 뉴스1
26일 오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불이 나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 뉴스1

28일 정부에 따르면 국정자원은 화재로 큰 피해를 입은 5층 7-1 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할 준비를 하고 있다. 정부 내부에서는 전소된 이들 시스템이 대구센터에서 새로 가동되기까지 약 2주가 걸릴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전소된 96개 시스템에는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공무원 행정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 정부 핵심 정보시스템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온나라시스템은 공무원들이 내부에서 문서를 제출하는 등 업무에 필수적인 시스템이다.

행정안전부 등 중앙부처 홈페이지 관리 시스템 대부분도 전소된 7-1 전산실에 있었던 만큼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국정자원은 지난 26일 5층 7-1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항온항습기가 꺼지면서 다른 구역·층의 정보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한 바 있다.

이들 3개 층 전산실 등에는 전소된 7-1 전산실의 96개를 제외한 551개 시스템이 있다. 정부는 국정자원 전산실의 통신·보안 장비 복구를 모두 마치는 대로 551개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재가동해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 여부를 점검할 계획이다.

현재 일부 기능을 제외하고 재가동된 사례는 모바일신분증이다. 모바일신분증은 광주센터의 재해복구(DR) 체계로 전환해 화재 발생일인 26일 기준 신규 발급·재발급을 제외한 모든 기능이 정상화됐다. 삼성월렛, 카카오뱅크, 네이버, 토스 등 민간 앱을 통해 발급받은 사용자는 신분증 종류와 상관없이 금융거래 관련 제출 기능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중앙부처와 달리 대통령실 홈페이지는 이번 국정자원 화재와 무관하게 정상 가동되고 있다.

한편 이번 화재 원인으로 배터리 교체 작업 중 드릴 사용으로 인한 스파크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작업 매뉴얼 준수 여부에 대한 조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정부는 재난 문자를 통해 서비스 장애 상황을 안내하고, 세금 납부나 서류 제출 기한을 시스템 정상화 이후로 연장하는 등 국민 불이익 최소화에 나섰다. 또 각 부처와 금융당국 등은 피해 상황 점검과 시스템 복구, 보안사고 예방에 집중하고 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