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정보시스템이 마비된 가운데 산업부와 중기벤처기업부 등 정부 부처들이 일제히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대응 마련에 나섰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김정관 장관 주재로 부처 업무 관련 정보 시스템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화재로 인해 전략물자 심사, 불공정 무역 행위 조사, 전기사업 인허가 신청 등 관련 업무에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산업부와 산하 소속 기관 대표 홈페이지, 내부 행정 시스템 등 21개(대국민 서비스 11개, 내부 업무 서비스 10개) 시스템 접속도 불가능하거나 작동하지 않는 상황이다.
산업부는 시스템 장애로 온라인 처리가 불가한 인허가 신청 등 민원을 수기로 접수하도록 하고, 인허가 결과도 서면 및 팩스 통보로 할 계획이다. 또 전략물자 수출 심사 신청은 임시로 전용 플랫폼 대신 이메일 등을 통해 할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불공정 무역 행위 사건 신청 접수와 조사 통보는 서면으로 하고 종결 사건은 팩스 또는 우편으로 공문을 발송한다. 전기사업 인허가는 대면 접수로 업무를 우선 처리하고 결과는 한전 및 전력거래소 홈페이지에서 공고할 계획이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이날 회의에 앞서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전자무역 통합관제센터를 방문해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추가 사이버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날 차관 주재 '피해 및 대응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서는 실·국별, 산하기관별 정보시스템 피해 현황을 점검하고 화재로 인한 타 시스템 연계 중단에 따른 문제점을 면밀히 점검했다.
주요 정보시스템의 업무연속성계획(BCP) 실효성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대민 서비스 지연 최소화와 정책 고객 안내 체계 강화를 핵심 과제로 삼아 대책을 점검했다.
중기부는 각 실·국별 선제 점검과 현장 중심 대응을 강화하고, 대국민 불편 및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체 이용 안내, 지원사업 처리 지연 개선 등을 점검하고 대응계획을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노용석 중기부 차관은 중소기업·소상공인의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불편 최소화에 최우선을 두겠다며 각 실·국은 소관 시스템과 대외 연계 서비스를 면밀히 점검해 장애를 사전에 차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즉시 이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
- 전산장애 수습 단계 돌입…정부, 핵심 서비스 복구 총력 [국정자원 화재]
- 주요 금융그룹, 비상대응체계 가동… 피해 최소화·보안 단속 [국정자원 화재]
- 이해민 의원 “디지털 정부 ‘사상누각’…국가 시스템 원점 재설계해야” [국정자원 화재]
- 우정사업본부 “우편·금융서비스 복구 위한 점검 시작” [국정자원 화재]
- 이중화 공백 왜 발생했나 [국정자원 화재]
- 신한금융, 국정자원 화재 대응 체계 가동… “전체 시스템 모니터링” [국정자원 화재]
- 서비스 복구 시작… “551개 서비스 오늘 중 재가동” [국정자원 화재]
- “정부 핵심 시스템 모두 불탔다” … 복구까지 최대 2주 관측 [국정자원 화재]
- 후속책, 대구 PPP 이전… 근본 대책 부재, 임시방편 불과 지적 [국정자원 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