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정보시스템이 마비된 가운데 산업부와 중기벤처기업부 등 정부 부처들이 일제히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대응 마련에 나섰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의 모습/뉴스1 
김정관 산업부 장관의 모습/뉴스1 

2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김정관 장관 주재로 부처 업무 관련 정보 시스템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화재로 인해 전략물자 심사, 불공정 무역 행위 조사, 전기사업 인허가 신청 등 관련 업무에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산업부와 산하 소속 기관 대표 홈페이지, 내부 행정 시스템 등 21개(대국민 서비스 11개, 내부 업무 서비스 10개) 시스템 접속도 불가능하거나 작동하지 않는 상황이다.

산업부는 시스템 장애로 온라인 처리가 불가한 인허가 신청 등 민원을 수기로 접수하도록 하고, 인허가 결과도 서면 및 팩스 통보로 할 계획이다. 또 전략물자 수출 심사 신청은 임시로 전용 플랫폼 대신 이메일 등을 통해 할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불공정 무역 행위 사건 신청 접수와 조사 통보는 서면으로 하고 종결 사건은 팩스 또는 우편으로 공문을 발송한다. 전기사업 인허가는 대면 접수로 업무를 우선 처리하고 결과는 한전 및 전력거래소 홈페이지에서 공고할 계획이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이날 회의에 앞서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전자무역 통합관제센터를 방문해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추가 사이버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용석 중소벤처기업부 차관/뉴스1
노용석 중소벤처기업부 차관/뉴스1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날 차관 주재 '피해 및 대응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서는 실·국별, 산하기관별 정보시스템 피해 현황을 점검하고 화재로 인한 타 시스템 연계 중단에 따른 문제점을 면밀히 점검했다.

주요 정보시스템의 업무연속성계획(BCP) 실효성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대민 서비스 지연 최소화와 정책 고객 안내 체계 강화를 핵심 과제로 삼아 대책을 점검했다.

중기부는 각 실·국별 선제 점검과 현장 중심 대응을 강화하고, 대국민 불편 및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체 이용 안내, 지원사업 처리 지연 개선 등을 점검하고 대응계획을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노용석 중기부 차관은 중소기업·소상공인의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불편 최소화에 최우선을 두겠다며 각 실·국은 소관 시스템과 대외 연계 서비스를 면밀히 점검해 장애를 사전에 차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즉시 이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