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을 겨냥한 해킹 시도가 17만8000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BS와 우정사업본부가 집중 표적이 됐다.

조인철 더불어민주당 위원이 2024년 10월 17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 뉴스1
조인철 더불어민주당 위원이 2024년 10월 17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 뉴스1

조인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등 국회 과방위 산하 83개 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발생한 해킹 시도가 총 17만8831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0년에는 과기정통부·방통위·원안위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가 연간 7610건이었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연간 1만 건을 넘어섰다. 지난해는 1만6253건으로 2020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국회 과방위는 과기정통부와 방통위를 비롯해 원자력안전위원회, 우주항공청 등 국가 연구기관과 한국방송공사(KBS), 한국교육방송공사(EBS) 등 방송사를 포함한다. 따라서 해킹이 성공할 경우 국가 기간망에 중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전체 83개 기관 가운데 해킹 시도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KBS였다. 2024년 9월부터 올해 9월까지 1년간 38만9376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다. KBS는 해킹 관련 자료를 1년간만 보관하고 있어, 실제 연간 해킹 시도는 40만 건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KBS를 제외하면 최근 5년간 해킹 시도가 가장 많았던 기관은 우정사업본부로, 3만6805건의 공격을 받았다. 이와 함께 유관 기관인 우체국금융개발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등을 합치면 5년간 4만6612건의 해킹 시도가 발생했다. 우정사업본부는 우편 업무뿐 아니라 금융업무도 취급하기 때문에 해커들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

조인철 의원은 “일부 기관에서 악성코드 유입이 발견됐지만 자체 점검 결과 정보 유출 피해가 없다고만 답하는 등 보안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라며 “관련 예산의 편성부터 집행까지 꼼꼼하게 점검해 해킹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사전에 예방하겠다”고 말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