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은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를 포함한 통신 3사의 사업 명암이 뚜렷한 한 해였다. 통신 3사가 염원하던 비통신 사업에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5세대(5G) 이동통신 가입자는 2000만명을 돌파했다. 비통신 사업에 주력한 사이 본업에선 전국 단위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수면 위로 떠 올랐다. 5G 소비자의 집단 소송도 이어졌다. 28기가헤르츠(㎓) 5G 사업에선 한 차례 위기를 넘겼다.

왼쪽부터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 홍석준 국회의원,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 구현모 KT 대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 IT조선 DB
왼쪽부터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 홍석준 국회의원,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 구현모 KT 대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 IT조선 DB
탈통신 외치던 통신 3사, 비통신 매출 늘리며 영업익 1조 시대 개막

통신 3사에겐 올해가 탈통신 확대의 본격적인 원년이 됐다. 통신 3사가 각각 추진하는 비통신 사업에서 성과를 얻은 덕분이다.

이통 3사는 디지털 전환 수요에 발맞춰 기업 대상(B2B) 솔루션 사업과 메타버스, 클라우드 등 비통신 사업에서 분주한 행보를 보였다. 그 결과 3사 합산 영업이익은 1분기(1조1086억원)와 2분기(1조1408억원), 3분기(1조591억원) 모두 1조원을 넘겼다. 3사 영업익이 1조원을 돌파한 것은 3년 만에 처음이다.

SK텔레콤은 뉴(New) ICT로 칭하는 비통신 사업 매출 비중이 32.8%(3분기 기준)까지 늘었다. KT는 같은 분기 기업 대상(B2B) 사업 수주액이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LG유플러스 역시 3분기에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사업과 B2B 솔루션 사업에서 각각 19.6%, 22.5% 매출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통 3사는 이같은 성과를 토대로 향후 비통신 영역 사업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2025년까지 비통신 사업 비중을 전체의 28%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KT는 같은 기간 50%까지, LG유플러스는 30%까지 각각 비통신 비중을 늘리겠다고 계획을 내놨다.

본업에서 사업 리스크 부각…CAPEX 증액 과제도

통신 3사가 비통신 사업에 주력한 사이 통신 사업에선 여러 악재가 겹쳤다. 4월 초고속인터넷 품질 논란을 겪은 데 이어 10월엔 전국 단위로 KT 인터넷 장애가 발생했다. 디지털 사회로 가면서 통신 품질의 중요성이 커진 때 여러 문제가 빚어져 소비자 비판을 면하기 어려웠다.

통신 3사의 줄어든 설비투자(CAPEX) 규모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늘어난 배경이다. 통신 3사의 올해 세 분기 합산 CAPEX 규모는 전년 동기보다 15.82% 줄어든 4조825억원으로 나타났다. 3사 모두 통신 분야 CAPEX 규모를 줄인 결과다. 통신 3사는 비판 여론이 늘자 11월 올해 CAPEX 규모를 2020년 수준인 8조원대로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네트워크 장애가 곧 국가 재난으로 이어지는 사태를 막고자 최근 통신 3사와 대응책을 내놨다.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강화하고, 통신사 간 상호 백업 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같은 개선 행보는 2022년 본격화할 예정이다.

5G 기지국 점검 모습 / SK텔레콤
5G 기지국 점검 모습 / SK텔레콤
2000만 가입자 확보에도 사업 명암 뚜렷했던 5G…28㎓ 큰 위기는 넘겼다

통신 3사는 2019년 4월 5G 이동통신 상용화 이후 2년여 만에 본격적인 수확을 맛봤다. 올해 5G 가입자 수가 2000만명을 돌파하면서 가입자당평균매출(ARPU)도 증가해 3사 모두 3만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그 결과 통신 사업 매출도 3사 모두 증가세다.

통신 3사는 이같은 성과에도 마냥 웃지 못했다. 소비자의 높아진 통신 품질 눈높이에 3사 5G 서비스가 미치지 못하면서 불만이 가중했다. 급기야 1400명이 넘는 5G 소비자가 통신 3사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통신 3사의 5G 광고가 허위·과장에 해당한다는 조사 결과를 내고 제재를 위한 심의를 진행하고 있다.

5G 고주파 대역인 28㎓ 사업에서도 고민이 이어졌다. 기술 한계로 28㎓ 대역에서 상용화 서비스 개발에 어려움을 겪으며 정부로부터 할당받은 28㎓ 기지국 의무 구축 수를 채우지 못했다. 최소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주파수 할당이 취소될 수 있어 위기감이 컸다. 통신 3사가 지하철에서 공동 구축 중인 28㎓ 기지국을 의무 할당량으로 인정하겠다는 과기정통부 발표로 큰 산은 넘긴 상태다.

알뜰폰 시장에서의 독과점 논란도 올해 두드러졌다. 통신 3사 자회사가 알뜰폰 시장서 차지하는 점유율이 50%에 육박하면서 점유율 제한 논의가 나왔다. 국회와 과기정통부가 모두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향후 규제 방향에 따라 사업에서 변수가 생길 수 있다.

김평화 기자 peaceit@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