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선 기간에 약속했던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전략 비축을 행정부에 지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정부가 이미 보유한 가상자산을 팔지 말라는 설명이다. 다만 추가 구매 지시는 없어 투자자들의 기대에는 못 미쳤다.

데이비드 색스 백악관 인공지능(AI)·가상화폐 차르는 6일(현지시간) 액스(X·옛 트위터)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사진) 미국 대통령이 비트코인 전략 비축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 조선DB 
데이비드 색스 백악관 인공지능(AI)·가상화폐 차르는 6일(현지시간) 액스(X·옛 트위터)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사진) 미국 대통령이 비트코인 전략 비축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 조선DB 

데이비드 색스 백악관 인공지능(AI)·가상자산 차르는 6일(현지시간) 액스(X·옛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 전략 비축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전략 비축이란 특정 목적을 위해 미리 보유하고 관리하는 전략을 뜻한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2일 가상자산의 전략 비축을 추진하도록 행정부에 지시했다고 발표하면서 비트코인 외에 이더리움(ETH), XRP(리플), SOL(솔라나), ADA(카르다노)를 비축하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색스 차르는 “형사 또는 민사 몰수 절차의 일환으로 압수된 연방정부 소유 비트코인이 자산 비축에 활용될 것이다”며 “이는 납세자에겐 단 10센트의 비용도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비축된 비트코인은 판매하지 않을 것이고 가치 저장소에 보관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미 행정부가 비축한 비트코인을 판매하지 않고 이를 통해 가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도 짚었다. 색스 차르는 “미국 정부가 과거에 보유한 비트코인을 너무 일찍 매각해 170억달러가 넘는 자산 가치를 상실했다”며 “행정명령에 따라 재무부와 상무부 장관은 비트코인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한 ‘예산 중립적’ 전략을 수립할 권한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부는 몰수 절차를 통해 확보한 자산 외 비축을 위한 자산을 추가로 획득하지 않겠다는 뜻을 전했다. 정부 차원에서 예산을 투입해 가상화폐를 구매하지는 않겠다는 의미다.

색스 차르는 “비축하는 목적은 재무부 하에서 정부 디지털 자산을 책임 있게 관리하기 위함”이라며 “미 정부가 비트코인 약 20만개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를 제대로 감사한 적은 없고 행정명령은 정부가 보유한 디지털 자산의 완전한 파악과 기록을 지시한다”고 전했다.

투자자 기대에 못 미치는 결정에 가상자산 가격은 하락세다.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한국시각)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8만7652달러로 24시간 대비 5.0% 하락했다. 같은 기간 이더리움 6.35% 내렸고, XRP 1.85%, 솔라나도 5.83%씩도 하락했다.

윤승준 기자
sjyoon@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