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TSMC·폭스콘이 손잡고 대만에 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한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19일 타이베이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 기조연설에서 대만에 실리콘밸리급 AI 신사옥과 국가 단위 AI 인프라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AI 슈퍼컴퓨터, 대만서 본격 시동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19일(현지시각) 타이베이 뮤직센터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 기조연설에서 “TSMC·폭스콘과 협력해 대만 최초의 대형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이어 “타이베이에 실리콘밸리급 신사옥도 세울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칩 생산을 넘어, 대만이 AI 인프라 강국으로 도약하도록 지원하겠다는 청사진으로 읽힌다. 엔비디아는 최신 GPU인 '그레이스 블랙웰' 기반 슈퍼컴퓨팅 시스템을 제공하고 TSMC는 반도체를 생산, 폭스콘은 조립과 하드웨어 통합을 담당한다.
대만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는 해당 AI 슈퍼컴퓨터를 대학·연구기관·스타트업 등에 개방해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이 센터에는 AI 전용 GPU 1만 개 이상이 투입될 예정이다.
젠슨 황 CEO는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기계 설치가 아니라, 교육·과학·기술을 견인할 국가 핵심 인프라 구축이다”라고 강조했다.
타이베이에 ‘실리콘밸리급’ 엔비디아 신사옥 건립
젠슨 황 CEO는 이날 엔비디아의 새로운 글로벌 거점 ‘콘스텔레이션(Constellation)’ 프로젝트도 공개했다. 타이베이 베이터우 지역에 들어설 이 신사옥은 실리콘밸리 본사 규모(약 5만㎡)에 준한다. 1000명 이상이 근무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된다.
그는 “대만과 파트너십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고, 엔지니어 수요도 증가하면서 기존 오피스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새 사옥은 기술과 인재가 연결되는 AI 혁신 허브가 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신사옥이 들어설 베이터우 지역은 지하철 개통 예정지로 교통·전력 인프라 면에서 입지가 우수하다는 평가다.
“AI 인프라 기업으로 정체성 전환”
젠슨 황 CEO는 “엔비디아는 더 이상 단순한 반도체 기업이 아니다”라며, “우리는 글로벌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기업이며, 자원·전력·자금 등 장기적 관점에서 세계가 명확히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신사옥과 AI 컴퓨팅센터는 엔비디아의 미주 중심 AI 전략을 동아시아로 확장하는 동시에, 대만이 단순 생산기지를 넘어 AI 주권을 확보하는 계기로 해석된다.
한편 젠슨 황 기조연설로 막을 올린 컴퓨텍스 2025는 20일부터 23일까지 타이베이 난강 전시관에서 ‘AI 넥스트(AI Next)’를 주제로 열린다. 올해는 29개국 1400여 개 기업이 4800개 부스를 운영하며, 아시아 최대 ICT 전시회로 치러진다.
컴퓨텍스는 한때 PC 부품 중심 전시회로 평가받았지만, 2023년 이후 엔비디아·퀄컴·인텔 등 글로벌 빅테크 CEO들이 집결하면서 ‘AI 쇼케이스’로 변모하고 있다.
타이베이=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
- 엔비디아 “3분기 GB300 출시”… 젠슨 황, AI 팩토리 시대 연다 [컴퓨텍스 2025]
- 에이수스, RTX 5060 탑재로 ROG 라인업 강화… 가격·성능 잡는다 [컴퓨텍스 2025]
- [르포] AI 격전지 대만에서 입지 다지기 나선 韓 기업들 [컴퓨텍스 2025]
- 젠슨 황 “美 대중국 수출 통제는 실패한 정책”… 中 시장 중요성 역설
- AMD, 차세대 라데온 GPU·라이젠 스레드리퍼 CPU 공개 [컴퓨텍스 2025]
- 컴퓨텍스 2025 성료… “글로벌 혁신 허브로 대만 위상 높여”
- 젠슨 황, 엔비디아 주식 296억원어치 팔아… “지분율 영향은 미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