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통 공룡들이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3일(현시지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최근 월마트, 아마존, 익스피디아 등 대형 기업들이 미국 내에서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활용 방안을 논의 중이다.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달러 등 특정 자산에 가치를 고정한 디지털 자산이다. 기존 암호화폐보다 가격 변동성이 낮고, 송금·결제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유통 대기업들이 이를 도입할 경우 비자·마스터카드 등 카드사들이 오랫동안 지켜온 결제 시장 구조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
현재 카드 기반 결제망은 유통업체가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소비자 결제 건마다 가맹점 수수료와 결제 지연 등이 발생해 매출 회수에 시차가 생기는 불편함도 있다.
반면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면 즉시 결제 및 해외 공급망 대응이 가능해 수수료 절감과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다.
아마존은 자체 디지털 코인을 온라인 결제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기업 간 컨소시엄 형태로 외부 스테이블코인을 함께 활용하는 시나리오도 논의되고 있다. 대형 은행들도 자체 스테이블코인 컨소시엄을 추진 중이다.
다만 이들 유통 대기업의 최종 결정은 미국 의회에 계류 중인 '지니어스(Genius) 법안'의 영향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해당 법안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처음으로 수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상·하원 통과 절차가 남았다.
실제 법안 통과 시 유통사는 카드망을 대체할 새로운 결제 수단을 확보하게 되고 경쟁이 심화될 경우 비자·마스터카드의 수익성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실제로 두 카드사의 주가는 최근 5%가량 하락했다.
일각에선 스테이블코인의 보안성 및 규제 리스크 우려도 나온다. 월마트는 스테이블코인 외에도 카드산업 내 경쟁 촉진 조항을 법안에 추가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월마트는 과거에도 금융업 진출을 시도했으나, 2000년대 초반 반려된 전례가 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
- 與 민병덕, ‘원화 스테이블코인 허용’ 디지털자산기본법 발의
- 블룸버그 “코인 정책, 누가 대통령 돼도 호재” …가상자산 수혜 전망
- 한은 "1분기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액 57조원"
- 국민의힘 "미국도 하는 스테이블코인, 우리도 도전"
- 도입론 대세 속 만만찮은 신중론… "규제 서둘러야" [스테이블코인 전쟁⑥]
- 美 부통령 “가상자산 탄압 끝났다”… 규제 기조 전면 전환
- 금융위 "스테이블코인 포함, 가상자산 2단계 통합법 추진"
- “원화 스테이블코인, 인프라·신뢰·편의성 3박자 갖춰야"
- 이창용 한은 총재 “원화 스테이블코인 반대 안하지만, 외환관리 우려”
- 美 월마트, 오픈AI와 협업… “챗GPT로 쇼핑, 즉시 결제까지”